LOGO-XN

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KIMS Periscope

KIMS Periscope 제349호

추격과 선도 사이 : 한국전쟁에서의 영국 해군과 연합군 작전

Tim-Benbow

킹스 칼리지 런던대

Tim Benbow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영국은 본래 해군력에 초점을 맞추어 유엔군에 합류하였다. 북한 침공 당시 싱가포르에 주둔한 영국 해군의 극동 기지에는 경항모 1척, 순양함 3척, 구축함 및 호위함 15척, 그리고 여러 지원함 등 총 22척의 군함이 정박중이었다. 당시에는 국방, 특히 해군에 대한 우선순위가 낮았기 때문에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함대는 해전에서 그 어떤 해군보다 앞서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국을 지원하기로 약속한 다른 군과 마찬가지로, 영국 해군의 최우선 과제는 상황을 안정시켜 공산군의 진격을 저지하고 유엔 지상군과 공군이 한반도에 안전하게 주둔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에 영국 해군은 미 해군과 협력하여 연합군을 남한으로 수송하였고, 적의 해상 진출을 막고, 해안에서 적군과 보급로를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교전상태가 안정화되면서 영국 해군 기동전대(미국 지휘 아래)는 서해안에서의 작전을 맡게 되었다. 영국 함대는 다국적 연합군 내 회원국들이 제공한 군함을 배분 받고 병참 지원을 조정했다. 따라서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네덜란드는 물론, 미 해군과 대한민국 해군의 군함이 정기적으로 작전에 참가했으며, 때로는 프랑스와 콜롬비아 호위함과 일본 소해정도 작전에 투입되었다. 서방과 미국이 주도하는 동부군의 군함은 상호 이해와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미국과 영국 군함이 상대방 해군 지휘관 밑에서 근무하는 등 상호 교환 작전을 자주 수행하였다. 서방군은 일반적으로 영국 경항모(미 해군 경항모와 교대)가 구축함 4척의 엄호를 받으며 영국 해군 순양함, 호위함 4척, 미 소해정, 한국 경비정으로 구성되어 연안 부대를 엄호하는 형태를 취했다.

서부 기동전대는 얕은 수심, 조수간만, 빠른 조류, 안개, 눈보라, 심지어 태풍과 같은 악천후와 수많은 작은 섬과 중립 선박의 존재로 인해 더욱 복잡한 조건에서 작전을 수행해야 했다. 그들이 수행한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군이 병력이나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바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해안을 봉쇄하고, 해안포, 비행장, 지뢰 매설지 등 해상에서 전쟁과 관련된 목표물에 대한 포격과 공습을 전담하였다. 둘째, 적군과 그들의 보급선, 특히 철도와 교량에 대한 포격과 공습을 통해 해안에 있는 유엔군을 지원하였다. 또한 동해안 해군에 비해서는 적었지만 간혹 전략 폭격 작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셋째, 전쟁 중 연합군은 공습군의 전진 기지로 사용하거나 적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여러 작은 연안 섬을 점령했는데, 해군은 이러한 작전을 지원하며 주둔지를 보급하고 방어하는 데 기여하였다.

해상에서의 적의 위협은 제한적이었다. 1950년 7월 한 차례 심각한 해상 교전이 있었는데, 영국 해군 순양함과 호위함, 미 해군 순양함이 어뢰정 4척과 고속포정 2척으로 구성된 북한군을 요격하여 적 함정 5척을 침몰시켰다. 공중 위협은 제한적이었고 잠수함의 위협은 없었지만 중국과 소련의 해군 및 공군 기지가 매우 가까웠기 때문에 분쟁이 확대될 경우에 대비해 지속적인 예방 조치를 취해야 했다. 연합군이 바다를 사용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은 해안포와 특히 기뢰였다. 영국군 초대 전장 지휘관이었던 앤드루스 제독은 ‘주요 상륙작전에서 우리의 강력한 함대는 적이 어선에 설치한 기뢰로 인해 중요한 열흘 동안 바다에 대한 지휘권을 잃었다’고 회고하였다. 그는 ‘우리의 적들, 특히 그들의 지원국들은 해상 전력에 의존하는 국가에 대한 기뢰전의 효과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모든 기회를 이용해 기뢰 공격을 감행할 것이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영국은 한국전쟁에서의 교훈과 영국이 취득한 (독일 전시 전문 지식을 활용했음을 보여주는) 소련의 현대식 기뢰 기술 정보를 전쟁이후 영국의 재무장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기뢰 대응력을 강화하였다.

항공모함 기반 공군력은 적군에게 점령될 수 있는 부동의 해안 비행장에 비해 그 가치와 이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합 작전은 세계대전 이후 지중해와 필리핀 연안에서 실시된 훈련에서 이미 입증된 영국과 미국 항공모함의 긴밀한 협력 능력을 확인시켜 주었다. 한국전쟁에서 영국 해군은 함대 항공 전력에 대한 투자 부족과 낮은 우선순위로 인한 결함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영국 해군은 전쟁 기간 동안 23,000회의 출격을 수행하며 귀중한 공헌을 했으며, 영국군이 아니었다면 미국의 항공모함이 서부 해안에만 전념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되었을 것이다. 영국 해군 항공모함의 미래가 심각하게 위협받던 시기에 한국전쟁은 항공모함의 가치를 입증하는 기회가 되었다. 수에즈 위기에서 곧 드러났듯이, 영국의 상륙전 능력은 전쟁 이후 급격히 하락하였고, 반대로 단기간에 주요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미국의 능력은 영국에게 큰 감명을 안겼다. 영국군은 미국의 주요 상륙 및 철수를 지원했고, 적을 괴롭히고 정보를 수집하며 특정 목표를 파괴하고 다수의 적군을 묶어두는 데 유용한 공습을 수행했는데, 이는 모두 상륙전 능력이 가져오는 이점의 전형이었다.

 

주요 교훈과 현대적 관련성

전쟁 후반부 작전에 큰 영향을 미친 해군 작전의 가장 큰 특징은 다국적군이라는 것이다. 앤드루스는 1951년 3월에 작성한 첫 번째 보고서에서 ‘다수의 영연방 및 연합군 함정이 미군 총괄 사령부 내에서 영국군 사령부 산하에 기동전대를 구성하였고, 7개의 국적을 가진 함정들이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높은 작전 상호 교환성을 보이며 매우 신속하고 조화롭게 작전을 수행하였다는 점이 매우 독특하다’ 고 언급했다.

영국이 주도한 이 부대는 철저한 다국적 군대로서 미국 외 거의 모든 해군을 운영했다. 대부분의 군함이 미 해군과 마찬가지로 영연방 해군 출신이기 때문에 세계대전 당시와 전후 훈련에서 문화적으로나 경험적으로 공감대가 있다는 점이 용이하게 작용했지만, 영연방 외의 해군도 큰 문제없이 기동전대 작전에 적응할 수 있었다는 사실 또한 입증되었다. 영국 함대의 2대 사령관이었던 스콧 몬크리에프 제독은 자신의 지휘하에 있던 한국 승조원들을 ‘사자처럼 용감하고, 예리하며 의지가 강하다’며 높이 평가한 바가 있다. 그는 한국 해군 또한 영국군과 마찬가지로 자원이 부족하고, 언어 장벽으로 인한 의사소통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협력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은 성공적이었고, 그는 현지 해군과의 협력은 다른 곳에도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위해 ‘더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협력은 이후에도 종종 나타나는데, 이는 해군이 쉽고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으며, 지상군에게서 보이는 마찰 없이 국가가 국제적인 노력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수준의 협력과 통합은 영국이 주도하는 군대 내에서 보다는 미 해군 사이에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미 해군과 영국 해군 사이에는 지휘 문화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영국은 미국이 지나치게 경직되고 중앙집권적이며 전방 지휘관에게 충분한 작전지휘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느꼈다.  교리 공유와 공통의 이해도 중요했지만, 핵심 동력은 전반적인 미 해군 지휘관의 성격이었다. 한 특정 지휘관의 성격이 마찰을 일으키고 다른 지휘관들은 조금 더 유연한 접근 방식을 가졌다면, 아무리 까다로운 지휘관도 자신의 행동을 수정해야 했다. 이와 같이 지휘체계에서 개인적인 관계와 상호 신뢰가 필수적이며, 이를 발전시키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했다. 이는 주요 지휘관들뿐만 아니라 다른 인물들에게도 적용되었는데, 주미 영국 대사와 국무장관 사이의 돈독한 관계는 양국 협력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고, 자신의 주도로 일본 주둔 미 해군본부 참모들과 인연을 맺은 영국 해군 장교는 미 해군 극동사령부의 주요 인사들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여 결과적으로 다른 영국군이나 다른 동맹국보다 상당한 접근과 신뢰를 누렸다. 또한 영국 해군 파견대의 모든 지휘관들은 전반적으로 얼마나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졌는지를 강조하였다.

조직간 관계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서로 다른 국적의 전함들 사이의 문제보다는 해군과 다른 조직 사이의 문제가 더 많았다. 일례로, 일부 미 공군은 식별을 돕기 위해 노르망디 스타일의 흑백 줄무늬가 도입된 후에도 함대 항공기와 적의 항공기를 구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고, 다른 유엔군과의 활동 공조를 이상할 정도로 꺼리는 미군이 자국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러 비밀 부대 및 해군과 여러 문제(아군 사격 사건 포함)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한국전쟁과 영국 해군의 참전은 당시 영국 일각에서 해군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었던 만큼 해군력의 막대한 가치를 적시에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영국과 유럽의 안보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의해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연합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력, 특히 해군력을 배치하는 것에 대한 가치를 부여했다. 또한 하나의 좁은 시나리오에 집중하여 국방 정책을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보여주었지만, 불행히도 이러한 오류는 영국의 전략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역량 측면에서는 항공모함 기반의 공군력과 상륙군의 막대한 가치, 특히 주로 해상 전장에서의 상륙군의 가치를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또다른 교훈으로는 다국적 해군 작전에 대한 것으로, 세계대전 직후에는 연합군 해군 간의 협력이 제도화되는 초기 단계에 있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과 참전 경험은 나토로 하여금 협력을 더욱 진전시키도록 자극하였다. 이는 미국이 주도하는 동맹체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소규모 해군의 기여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소집 세력으로서 영국 해군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Between Following and Leading: The Royal Navy and Coalition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Department of King’s College London
Dr. Tim Benbow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n June 1950, the British contribution to the United Nations campaign initially focussed on naval power.  At the time of the North Korean invasion, the Royal Navy’s Far East Station, based in Singapore, comprised 22 warships including a light fleet carrier, three cruisers, 15 destroyers and frigates and several auxiliaries.  As a result of the low priority given by the government of the time to defence in general and to the Navy in particular, this fleet was underfunded and undermanned.  Nevertheless, it played a major role in the naval campaign, second only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far ahead of any other Navy.

In common with other forces committed to support South Korea, the first priority was to stabilise the situation, stopping the Communist advance and establishing UN land and air forces securely on the peninsula. The Royal Navy therefore worked with the US Navy to transport friendly forces into South Korea, to prevent the enemy from using the sea, and to attack enemy troops and supply routes ashore.

As the campaign stabilised, the Royal Navy task group (under US command) was given responsibility for operations off the west coast of the peninsula. The British fleet was allocated the warships contributed by other members of the multi-national coalition and coordinated their logistical support.  The force therefore routinely included warships from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and the Netherlands as well as the US Navy and Republic of Korea Navy, at times joined by French and Colombian escorts and Japanese minesweepers. Warships from the Western and US-led Eastern task groups frequently operated on exchange with the other, with US and British warships serving under commanders from the other navy,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operability.  The Western force typically took the form of a British light fleet carrier (rotating with a US Navy light carrier), screened by four destroyers, providing cover for an inshore unit comprising a Royal Navy cruiser, four escorts, US minesweepers and ROK patrol craft.

The Western task group operated in challenging conditions including shallow waters, shifting mudbanks and fast currents, often in difficult weather (fog, blizzards, even typhoons) and further complicated by the presence of many small islands and large numbers of neutral vessels.  It had a number of roles. First, it had to enforce the blockade, preventing the enemy from using the sea to transport troops or supplies; this activity included gunfire and air strikes against targets associated with the war at sea, such as coastal artillery, airfields and minelayers. Second, it supported UN forces ashore with gunfire and air strikes against enemy forces and their supply lines, particularly railways and bridges.  This involved occasional participation in the strategic bombing campaign, though less than the naval forces off the east coast. Third, during the war allied forces occupied several small offshore islands, either to use as forward bases for raiding forces or to deny them to the enemy.  Naval forces supported these operations and helped to supply and defend the garrisons.

The enemy threat at sea was limited.  The war saw one serious surface engagement when in July 1950 a Royal Navy cruiser and frigate and a US Navy cruiser intercepted a North Korean force of four torpedo boats and two motor gunboats, sinking five enemy vessels. There was a limited air threat and none from submarines, though with Chinese and Soviet naval and air bases so close, precautions were constantly taken in case the conflict should escalate. The principal impediments to coalition use of the sea were coastal artillery and, particularly, mines. According to Rear-Admiral Andrewes, the first in-theatre commander of the British force: ‘In a major amphibious operation our powerful fleet lost command of the sea for ten important days through the laying of enemy mines from fishing boats.’  He added, ‘it is clear that our enemies and in particular their sponsors are fully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mine warfare against a nation that relies on its sea power, and they will take every opportunity of embarking on a mining campaign.’ Lessons from the conflict, as well as technical intelligence from some modern Soviet mines that were captured (showing that the USSR had drawn on German wartime expertise) raised the profile of mine counter-measures in the British rearmament programme that resulted from the Korean War.

Carrier-based air power showed its value and its advantages over airfields ashore that were immobile and could be overrun by enemy forces. Further, the coalition campaign confirmed the ability of British and US carriers to work together closely, which had already been demonstrated in postwar exercises in the Mediterranean and off the Philippines. The conflict revealed the deficiencies in the Royal Navy’s Fleet Air Arm caused by prior lack of investment and the low priority it had been given. Yet it still conducted 23,000 sorties during the war and made an invaluable contribution, without which the west coast force would have needed the full-time commitment of US carriers. At a time when the future of the Royal Navy’s carriers was seriously threatened, this campaign helped demonstrate their value. In terms of amphibious warfare, Britain had rapidly run down its capability since the war – as the Suez crisis would shortly demonstrate – but was hugely impressed by the US ability to launch major operations at short notice. British forces supported the major US landings and withdrawals, and conducted many raids, which had a useful effect in harassing the enemy, gathering intelligence, destroying specific targets and also in tying down large numbers of enemy forces – all classic benefits of amphibious capability.

 

Key lessons and their contemporary relevance

The most striking aspect of the naval campaign, with major implications for later operations, was its multi-national character.  Andrewes noted that his first report, in March 1951, covered, ‘a number of British Commonwealth and Allied ships who formed a task group under British Command within an overall American Command.  In this respect, the campaign was probably unique in that ships of seven nationalities were, with minor exceptions, operationally interchangeable, a state of affairs which was developed very quickly and harmoniously.’

The British-led force was thoroughly multi-national, taking on nearly all the non-US naval forces.  The fact that most of these warships were from Commonwealth navies, sharing both culture and recent experience of working together (as they all did with the US Navy) during the war and in postwar exercises facilitated this but contingents from other navies also proved able to fit into the group with few problems. Read-Admiral Scott-Moncrieff, the second commander of the British fleet, praised the South Korean crews that came under his command: ‘They were as brave as lions, and extremely keen and willing’ – though he noted that, like his force, they were under-resourced and that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with language and communications. Still, efforts to established effective cooperation succeeded and he suggested that the work with local navies was ‘well worth further study’ for lessons that could be applied elsewhere. This smooth cooperation demonstrated something that has often been experienced subsequently, namely that navies can work closely together fairly easily, and represent a good way for states to contribute to an international effort, without some of the friction that can apply to land-based forces.

That said, this level of cooperation and even integration did take some effort – less within the British-led force than between it and the US Navy. There were some clashes in terms of command culture between the US and Royal Navies, with the latter feeling that the former was excessively rigid and centralised and did not allow enough freedom of action to forward commanders. While shared doctrine and a common understanding were important, the key driver proved to be the personality of the overall US Navy commander: one in particular caused a fair amount of friction but others were a little more flexible in their approach, and even the most challenging commander modified his behaviour; as so often, personal relationships and mutual trust were essential, and time devoted to developing these was well spent.  This did not only apply to the key commanders but also to other figures: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British Ambassador to the US and the Secretary of State was an important foundation, while the Royal Navy officer who on his own initiative arranged an attachment to the staff of the US naval headquarters in Japan built a close relationship with key individuals in the US Navy Far East command structure and enjoyed significant access and trust as a result – more so than the other British services or other allies. Further, all of the commanders of the British naval contingent emphasised how smooth cooperation was overall.

There were some problems in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s but these were less often between warship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an between naval forces and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some US Air Force aircrew fou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Fleet Air Arm aircraft from those of the enemy, even after Normandy-style black and white stripes were introduced to aid recognition; while several problems (including friendly-fire incidents) occurred between naval forces and the multiple clandestine forces operated in their area by the US forces who proved oddly reluctant to coordinate their activities with other UN forces.

The Korean War and the Royal Navy’s involvement in it provided a timely demonstration of the enormous value of naval power – which was important, given that at the time there were suggestions in some British circles that it was on the wane.  It also offered a reminder that British and European security can be seriously affected by events in the Indo-Pacific, giving value to an ability to deploy military, and particularly naval power to coalition operations there. It also showed the folly of focussing defence policy on a single, narrow scenario – an error which would unfortunately recur in British strategy.  In terms of capabilities, it showed once again the huge value of carrier-based air power and of amphibious forces, especially in a theatre that is predominantly maritime.  The other key lessons focussed on multinational naval operations; while the postwar years had seen the initial stages of institutionalised cooperation between the allied navies,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 and also the greater impetus given to NATO as a result of its outbreak – pushed this further along. It showed the ability of the RN to play an important role within a US-led alliance while acting as a convening power to facilitate and support the contribution of smaller navies.

Tim Benbow 박사는 영국 국방 아카데미에 기반한 킹스 칼리지 런던 국방학부 전략 연구 리더로, 주요 연구 분야는 영국의 전략과 국방 정책, 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해군 전략과 역사에 중점을 두고 있다.

Bowers, I. (Ed.). (2024). Coalition Navies during the Korean War: Understanding Combined Naval Operations (1st ed.). Routledge.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 KIMS Periscope는 매월 1일, 11일, 21일에 카카오톡 채널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 KIMS Periscope는 안보, 외교 및 해양 분야의 현안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합니다.
  • KIMS Periscope는 기획 원고로 발행되어 자유기고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해양안보의 현황과 쟁점, 전문적이고 시류의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물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보와 지식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들은 가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톡친구 버튼

친구추가 버튼

코드스캔 버튼

QR코드 스캔

채널 버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