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 성공한 근대화, 실패한 근대화
- 해금 ; 성공한 근대화, 실패한 근대화
- 저자 : 김석균
- 내용소개
왜 그리니치 천문대의 시간이 세계인의 표준 시간이 되었는가? 어떻게 우리는 서양인의 옷을 입고, 서양인이 발명한 차를 타고, 서양의 음악을 들으며 출근하게 되었는가? 어떻게 서양인들의 신(神)을 우리의 신으로 받아들이고 우리의 종교가 되었는가?
왜 세계의 중심이라 자처했던 중국은 ‘서양오랑캐’의 함대와 대포에 굴복하여 치욕의 한 세기를 보냈는가? ‘사무라이 국가’ 일본은 어떻게 해서 근대화에 성공하여 동양의 패자가 되었나? 왜 오늘날 중국은 사활을 걸고 해양으로 진출하려고 하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저자는 근대 동서양이 취했던 ‘해금(海禁)’과 ‘개해(開海)’의 두 키워드로 답하고 있다. 해금은 ‘하해통번지금(下海通番之禁)’, 즉 ‘바다로 나아가 오랑캐와 소통하는 것을 금한다’는 뜻으로, 명·청과 조선, 일본이 취했던 반해양·반무역 정책이다. 이에 반해 서양의 ‘개해’는 바다로 눈을 돌려 무역로를 개척하고 미지의 땅을 정복하는 해양진출·친무역 정책이었다.
서양이 대양으로 진출하는 동안 중화세계는 바다에 스스로 빗장을 쳤다. 그 결과는 학문, 기술, 과학, 부, 모든 면에서 동양에 뒤져 있었던 서양의 대역전이었다. 서양의 제도와 기술, 문화, 언어가 세계의 표준이 되고, 오늘날까지도 서양 우위의 세계사는 지속되고 있다.
- 목차
서문 4
제1편 개해의 유럽
제1장 유럽의 대양 진출
근세로 항해한 유럽 15 | 문명의 혼합 17 | 범선, 대포, 머스킷 총 19 | 부를 향한 모험 21 | 운명의 이베리아반도 24 | 항해 왕자 엔히크의 꿈 26 | ’세상의 변경‘을 넘어선 항해 28 | 희망봉을 돌아 인도로 31 | 콜럼버스의 서쪽 항해 32 | 운명의 피노스 다리 36 | 신대륙 발견의 세계사적 의미 36 | 남반구 해양을 반분한 토르데시야스 조약 37 | 태평양을 반분한 사라고사 조약 39 | 포르투갈의 폭력적인 해상무역 40 | 바다의 제국 42 | 해양제국의 쇠락과 네덜란드의 부상 44
제2장 자본주의제도의 탄생과 동인도회사
아시아 진출의 원동력 47 | 대항해시대가 발전시킨 자본주의제도 48 | 바다로 내몰린 네덜란드 51 | 항해 안내서와 동방무역 진출 53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얀 56 | 네덜란드의 폭력적 아시아 진출 58 | 섬나라 영국의 해적질 61 | 약탈에서 무역으로 64 | 영국 동인도회사의 동방 진출 65 | 국가가 주도한 프랑스 동인도회사 67 | 후추와 향신료 68 | 급증하는 차와 면직물 수입 69 | 높은 수익을 안겨 준 아시아 역내무역 72 | ‘아시아 침탈의 첨병’ 동인도회사의 몰락 73
제2편 해금의 동아시아
제3장 동아시아의 반해양 정책
명의 해금령 79 | 청의 천계령 81 | 떠오르는 개해론 82 | 찬란한 중국 해양문명의 쇠퇴 84 | 정화의 대원정 86 | 해금의 세계사적 의미 88 | 중화주의 세계관에 빠진 중국 90 | 기독교를 받아들인 다이묘들 92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금교령 95 | 에도 막부의 해외무역 96 | 기독교 금지와 해금 99 | 서구를 향한 열린 창, 데지마 102 | 중국보다 강력한 조선의 해금령 104
제4장 자유무역과 해금의 충돌
중국의 폐쇄적 농업경제 108 | 대역전의 시작, 산업혁명 110 | 영국의 포용적 정치·경제 체제 112 | 혁신을 가로막는 중국의 절대주의 체제 115 | 매카트니의 눈에 비친 중국의 현실 116 | 자유무역과 해금의 ‘충돌’ 118 | 차·은·아편 120 | 아편 무역 갈등 122 | 1차 아편전쟁 124 | 2차 아편전쟁과 불타는 원명원 126 |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승부 129 | 아편에 중독된 중국대륙 132
제3편 동양 3국 근대화의 도전
제5장 청, 제국의 몰락과 근대화 노력
강건성세기의 청 137 | 상공업 경제체제로의 전환 실패 139 | 인플레이션 그리고 재정악화 141 | 거대한 부패의 고리 142 | 급격히 무너지는 대청제국 144 | 신유정변과 서태후의 등장 147 | 서양 문물을 받아들인 양무운동 149 | 근대식 해군의 창설 151 | 청불전쟁의 패배 154 | 청일전쟁과 자강운동의 실패 156 | 조차의 수난 158 | 백일유신으로 끝난 무술변법 161 | 의화단운동과 불타는 이화원 163 | 청의 마지막 변혁 시도 165
제6장 일본, 무사의 나라에서 근대국가로
무사 집단이 지배하는 나라 169 | 임진왜란과 중화체제 이탈 172 | 에도 막부의 시작 174 | 막부 체제의 쇼군과 다이묘 176 | 에도시대의 사무라이 179 | 쇄국의 시작 181 | 밀려오는 서양의 거센 물결 182 | 흑선의 출현과 개항 185 | 서양 열강과 통상조약 체결 189 | 외세에 대한 일본의 대응 190 | 부국강병론과 해군 육성 193 | 막부 타도와 왕정 복고 196 | 근대화를 위한 대변혁, 메이지유신 199 | 전통적 신분질서 개혁 202 | 중앙집권주의 국가 수립 204 | 현대식 군대 창설 206 | 교육 개혁 207 | 입헌정치체제 수립 209 | 문명 개화 210 | 메이지유신의 성공 요인 212
제7장 소중화 조선, 잃어버린 근대화의 시간
1490년대의 조선과 해금 215 | 동아시아의 중화주의 질서 217 | ‘소중화’ 조선의 선택 218 | 조선의 대일 외교사절, 통신사 220 | 하멜의 조선 표착 222 | 하멜 일지에 비친 조선 225 | 네덜란드의 보물섬 원정대 227 | 강력한 쇄국과 이양선의 출몰 228 | 국제정세에 무지한 조선 조정 232 | 일본에서 일어난 정한론 233 | 떠밀린 조선의 개항 235 | 국제무대에 등장한 조선 238 | 취약한 근대화의 기반 240
제8장 뒤늦은 조선의 개화
쇄국을 깨는 개화사상 242 | 개화의 반작용 244 | 개화파의 산실, 북촌 245 | 급진개화파의 실패한 꿈, 갑신정변 247 | 갑신정변의 평가 249 | 잃어버린 10년 251 | 동학농민운동 252 | 청과 일본의 충돌 253 | 친일 정권의 개혁 시도, 갑오개혁 255 | 러·일 간의 갈등과 을미사변 257 | 외세에 흔들리는 왕실 258 | 조선의 두 개혁가, 김옥균과 김홍집 260 | 열강의 막다른 조선 지배권 전쟁 263 | 대한제국의 종말 265
[홍유릉 단상] 268
제4편 근대화의 성패
제9장 성공한 근대화, 실패한 근대화
동양 3국의 갈라진 운명 275 | 세계정세 변화에 대한 인식과 실용적 학문 277 | 근대지식의 습득과 수용 280 | 미약한 개혁 주도세력과 민중의 지지 부재 284 | 무지를 인정하고 배우려는 자세 288 | 분권적이고 포용적인 정치체제 292 | 근대화를 위한 국내적 여건 295 | 근대화의 경제적 기반 297
맺는말 302
참고문헌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