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XN

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학술총서

미·중 패권경쟁과 해군력

  • 저서명: 미중 패권경쟁과 해군력(한국해양전략연구소 총서 93)
  • 저자: 정호섭
  • 규격: 450쪽 | 크라운판
  • 출판사: 박영사
  • 출판년도: 2021년 9월 10일
  • 도서가격: 23,000원

서 론 1

제1부 초석(楚石)

제1장 미국,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11
1. 지정학이란? 12
가. 맥킨더(Halford Mackinder, 1861-1947) 13
나. 스파이크맨(Nicholas Spykman, 1893-1943) 14
다. 마한(Alfred T. Mahan, 1840-1914) 17
라. 콜벳(Julian S. Corbett, 1854~1922) 18
2. 미국의 지정학적 특성 20
가. 북미(北美)로의 대양(大洋) 접근로 통제 21
나. 전(全) 세계 대양의 통제 24
다. 잠재적 도전국의 부상(浮上) 예방 26
3. 중국의 지정학적 특성 29
가. 3개의 핵심요소 30
나. 또 하나의 필수소요: 해상교역로의 보호 31
다. 새로운 지정학적 게임: 유라시아 통합 가능성 32


제2장 미․중 적대관계의 기원 36
1. 중국의 대미(對美) 정책 기원 37
가. 치욕의 세기 37
나.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47
2. 미국 대중(對中) 정책의 기원 54
가. 건국 시 고립주의 신조 55
나. ‘치욕의 세기’와 미국 56
다. 중국의 재조(再造)를 위한 미국의 노력 58

제3장 UN 해양법 협약과 미․중 관계 63
1. 1982년 UN 해양법협약 64
가. UNCLOS 관련 미․중의 상반된 입장 64
나. 해양구역 관련 미․중간 이견 67
2. UN 해양법과 미․중간 패권경쟁 72
가. EEZ에서의 외국의 군사활동 72
나. 남중국해 75

제2부 미․중 개입정책

제4장 태평양전쟁 종전 후 대립(對立)의 시작 83
1. 미국의 세기 시작 83
가. 미국의 전통적인 아․태지역 군사전략 84
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86
다. 전 세계 해양통제 87
2. 냉전의 출현 90
가. 미․소 냉전의 부상 90
나. 중국의 공산화 92
다. 한국전쟁: 극동으로 확장되는 미․소 냉전 98
라. 미․중 대립: 제1, 2차 대만해협 위기 106
3. 중․소 분쟁 109
가. 중․소 갈등요인 109
나. 1968년 중․소 국경분쟁 113

제5장 미국의 대중(對中) 개입정책 117
1. 미국의 대중(對中) 개입정책 118
가. 미․중 관계 정상화 118
나. 대중(對中) 개입정책 120
2. 현대 중국해군의 태동(胎動) 123
3. 1979년 중국․베트남전쟁 126
4. 천안문 사태 129

제6장 냉전의 종식과 적대관계로의 복귀 136
1. 걸프전: 중국군 현대화의 출발점 137
가. 정보전쟁의 전형으로서 걸프전 137
나. 중국군의 각성(覺醒) 138
다. 군 현대화를 향한 출발 140
2. 냉전의 종식과 미국의 패권질서 147
가. 미국의 패권질서 유지 147
나. 탈냉전 후 미 해군의 전략 “… From the Sea” 149
3. 제3차 대만해협 위기(1995-6년) 152
가. 제3차 대만해협 위기 152
나. 양국의 전략 목표 154
다. 양국 관계에 미친 영향 155
4. 적대관계로의 복귀 157
가. 1999년 유고 중국대사관 오폭사건 157
나. 2001년 미 EP-3 사건 159
다. 중국의 신(新) 안보개념 161
5. 왜 개입정책이 실패했을까? 163
가. 중국을 변화시킨다는 확신 163
나. 두 가지 환상과 한 가지 잘못된 지각 165
제7장 중국의 유소작위(有所作爲) 169
1. 탈(脫)냉전 시대의 종료 170
가. 탈냉전 후 중․러의 반미(反美) 연대 170
나. 경제․군사 강대국으로서 중국의 등장 174
다. 중국군의 대(對)개입 전략으로서 A2AD 178
2. 냉전 승리의 최대 피해자로서 미 해군 185
가. 함대규모의 축소 185
나. 새로운 임무초점으로서 전방현시에의 올인(all-in) 188
다. 장거리 정밀타격 화력 경시 189
라. 대잠임무의 경시 193
3. 중국의 유소작위 194
가. 중국의 자신감 195
나. 핵심 이익으로서 남중국해 197
다. Scarborough Shoal 199
라. 센카쿠 열도 사건 202

제8장 아시아․태평양으로의 재균형 210
1. 흔들리는 미국의 패권질서 211
2. 아시아․태평양으로의 재균형 214
3. 공․해전투 개념의 출현 216
가. 등장 배경 216
나. 개념 발전 217
다. CSBA의 ASB 개념 218
라. 개념 평가 220
마. 비판 220
바. 제3차 상쇄전략(Third Offset Strategy) 224
4. 미국의 여러 가지 대(大)전략(Grand Strategy) 구상 227
가. 연안통제(offshore control) 전략 227
나. 역외균형(Offshore Balancing) 전략 229
다. 최소노출 전략(Minimal Exposure Strategy) 232

 

제3부 미․중 해양 패권경쟁

제9장 중국몽(中國夢)과 미 해군의 쇠퇴 237
1. 중국몽 238
가. 중국의 급부상 238
나. 시진핑(習近平)의 중국몽 242
2. 작전적 접근방식으로서 기정사실화 전략 256
가. 서태평양에서의 중국 A2AD 거품 256
나. 기정사실화 우려 258
3. 미 해군의 쇠퇴 261
가. 전비태세 실종 261
나. 미래전 준비의 소홀 264
다. 긴급증강(surge) 역량의 위축 266
라. 전략 해상수송 능력의 부식 268

제10장 인도․태평양 전략과 대중(對中) 거부적 억제 275
1.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276
가. 강대국 간 경쟁시대 276
나.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전략 277
다. 전략적 개입정책의 종식 282
2. 대중(對中) 거부적 억제 283
가. 왜 거부적 억제? 284
나. 거부적 억제 개념으로서 ‘해양압박’ 전략 285
3. 미 해군의 재건과 각 군의 전비태세 재편 293
가. 미 해군의 재건과 전비태세 복구 294
나. 미 해병대의 원정전진기지작전 303
다. 타군의 전비태세 재편 306

제11장 확장되는 미국의 안보 네트워크 312
1. 미국의 대중(對中) 연합 구축 모색 313
2. 동맹 및 파트너와의 안보협력 강화 314
가. 동맹 및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314
나. 제1도련 국가와의 협력 강화 316
다. 주둔전력(staying power) 기반 확대 326
3. 새로운 안보 네트워크 강화 331
가. 아시아의 NATO로서 Quad 331
나. NATO와의 대중(對中) 안보연대 강화 337

제12장 중․러의 전략적 연대 344
1. 중․러의 전략적 연대 344
가. 권위주의 체제 상호지원 345
나. 경제이익 상호 증진 346
다. 기능적 군사동맹으로의 발전 348
2. 잠재적 장애요소 351
가. 중앙아시아 351
나. 인도에 대한 러시아의 군사지원 353
다. 3극체제에서의 전략적 불확실성 353
라. 기타 갈등 요인 355
3. 유라시아 통합? 356
가. 중국․러시아․독일의 연대 가능성 357
나. 유라시아 통합의 핵심 노드: 이란 360

제4부 결 론

제13장 미․중 해양 패권경쟁과 향후 전망 369
1. 미국의 패권 유지 대(對) 중국의 도전 369
가. 미국의 패권 유지 369
나. 새로운 강대국 경쟁 시대의 등장 371
2. 향후 전망 374
가. 향후 미국의 대중(對中) 전략 376
나. 중국의 예상 반응 382
다. 패권질서와 해군력 385

제14장 미․중 해양 패권경쟁과 한․미 동맹 389
1. 한국의 소극주의(passivism) 390
가. 지정학적 취약성 391
나. 불가피한 전략적 모호성 393
2. 미국의 안보 네트워크로의 편입? 394
가. 한국의 가치와 역할 397
나. 자강(自彊)의 노력 399


참고문헌 405
찾아보기 425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