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XN

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KIMS Periscope

KIMS Periscope 제250호

AUKUS와 한국-호주 관계에의 함의

La Trobe University
Senior Lecturer

Rebecca Strating

한국과 호주는 오랜 기간 긴밀한 경제적 관계를 유지해왔지만 국방 분야에서의 협력은 최근에서야 활발해지고 있다. 2021년 6월, 양국 정상은 G7 정상회의 때 만나 ‘포괄적 전략 파트너십(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으로의 격상을 위해 노력할 것을 선언했다. ‘호주-일본 특별 전략 파트너십(Australia-Japan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호주는 한국 외에도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같은 여러 역내 국가들과의 관계도 CSP 수준으로 격상했다.

 ‘2015 국방 안보 협력 청사진(Blueprint for Defence and Security Cooperation)’은 해양영역에서 협력 확대가 양국 관계를 더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2021년 9월 13일에는 양국 외교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이 제5차 2+2 대화를 위해 서울에서 만났다. 양국은 합동훈련을 통해 국방협력을 강화하고, 양국 해군 간 상호운용성을 높이기로 합의했다.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자유항행과 비행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것에도 합의했다.

2+2 대화 불과 며칠 후, 호주-미국-영국이 역사적인 AUKUS 3각 안보 파트너십에 서명한다는 발표가 나왔다. 정보·기술 공유에 관한 약속인 AUKUS는 3국 간 협력·공동능력·상호운용성 강화를 목표로 한다.

언론에서는 호주가 AUKUS의 일환으로 최소 8척의 핵추진 잠수함을 도입할 계획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향후 18개월간 최우선 순위는 잠수함을 인도하고 민간 핵기술 기반이 없는 국가인 호주가 이러한 민감한 기술의 책임감 있고 신뢰할 만한 관리자가 되도록 하는 최적의 방향을 찾는 것이다. 또한, 토마호크 순항미사일과 같은 호주군의 장거리 타격능력 향상도 이 협정에 포함되었다.

나아가, 호주는 12척의 재래식 잠수함을 건조하기로 한 프랑스와의 900억 달러 계약을 파기해 최소 24억 달러의 매몰비용이 발생했으며, 계약파기 수수료도 추가 비용으로 지출될 예정이다. 계약 파기 발표를 서투르게 하는 바람에, 프랑스가 미국 대사와 호주 대사를 초치하는 외교적 역풍도 발생했다. 잠수함 프로그램에 관해 해결되지 않은 질문이 여전히 많지만, 호주는 이 기술을 미국으로부터 전수받는 두 번째 국가(첫 번째는 영국)가 될 예정이다.

AUKUS 체결로 인해 한국도 미국 등과 비슷한 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논의가 많았다.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 공약 중 하나였지만, 미국이 건조한 핵추진 잠수함을 구매하려는 요청은 거부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9월 보도에 따르면,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미국에서 핵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접근했지만 실패했다. 미국 지도자들은 AUKUS를 ‘단 한 번 있는 일(one-off)’로 표현했지만, 한국 전문가들은 이 기술을 한국과 공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Peter Lee에 따르면, 한국 국방산업(핵기술 기반과 조선산업 포함)은 호주보다 훨씬 발전해 있다. 비슷한 기술 공유 협정이 체결되면 한국은 주권 훼손의 위험 없이도 독자적인 핵추진 잠수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UKUS는 호주-한국 상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영향 정도는 AUKUS가 한국을 중국에 대항하는 측의 일원으로 간주해서 역내 냉전 구도를 강화하는 것에 달려 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이 안보협정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AUKUS가 역내에 어떤 문제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AUKUS가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하지만 한국이 反중국 동맹에 참여하라는 압박을 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한국 언론은 표명했다.

역내외 군함들의 공동순찰로 동아시아 해로가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 호주, 한국과 같은 중견국이 해양분야에서 자국의 전략적 지리(strategic geography)와 역할 및 이해관계를 어떻게 개념화해야 하는지가 흥미로운 과제로 부상했다. 호주와 마찬가지로 한국은 중국과 긴밀한 경제적 관계를 가진 중견국이다.

호주와 한국이 강대국과의 관계를 관리하기 위해 채택한 접근법은 달랐다. AUKUS는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하려는 호주의 의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로, 호주의 주권이 훼손되었다는 우려와 비판이 제기된다(프랑스 외교장관도 비판을 제기했다). 호주 정부는 미국과 중국 둘 다 선택가능한 실용적인 외교정책을 버렸으며, 이 결정은 지난 18개월 동안 호주와 중국의 무역관계가 악화되는 데 기여했다. 중국은 보리, 와인, 해산물과 같은 10여 개 호주 산업을 제재했으며, 양국은 상대측을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WTO)에 제소했다.

AUKUS는 호주가 미국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호주가 역내 안보에서 더 큰 역할을 하려 한다는 것도 보여준다. 『2020 국방 전략 계획(Defense Strategic Update of 2020)』은 호주 의사결정자들이 호주의 국가적 역할에 관한 주된 이미지를 세계 속 중견국(middle power)에서 한 지역(주로 해양)에 위치한 지역강국(regional power)으로 바꾸고 있음을 잘 보여줬다.

핵추진 잠수함으로의 전환은 역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싶다는 호주의 바람을 반영한다. 이 능력이 확보되면, 호주 해군이 더 많은 인도-태평양 지역을 더 오랫동안 순찰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전략적 해역에 관한 영해 주장이 경쟁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호주는 자신이 동북·동남아시아 해역의 군사행동 억제에 기여하고, 전체적인 지역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전략적 지리를 그보다 좁게 생각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웃 국가로 인해 실존적 안보 위협에 직면해 있고,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로 이런 위협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보적인 문재인 정부는 남북평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한국의 국방안보 능력도 현대화하려 했다. 한국은 ‘신남방정책’을 통해 동남아 국가와의 교류를 늘리려 했으며, 그보다는 덜하지만 인도와의 교류도 늘리려 했다. 핵 위협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인해 영해 및 관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동중국해 및 서해 밖 해역에서는 한국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축소되었다.

또한,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미국의 사드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한국 영토에 배치하도록 허용하자, 중국은 무역제재를 통해 한국에 보복했다. 한국 정부는 전통적인 안보동맹에 더 가까워지는 움직임을 보인 호주 정부에 비해 중국의 심기를 거스를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적은 것처럼 보인다. 균형을 유지하려는 한국의 태도로 인해 믿음직한 동맹국(dependable ally)으로서의 역할을 오랫동안 발전시켜 온 호주가 지금 얻게 된 기회를 한국이 놓치게 되었다는 인식이 한국 내에서 떠오를 수도 있다.

What Might AUKUS Mean for Australia’s Relations with South Korea?

Rebecca Strating
Senior Lecturer
La Trobe University

Despite strong economic ties, Australia and Korea defence cooperation ties are only beginning to deepen. In June 2021, the leaders of the two countries met on the sidelines of G7 leaders meeting and declared they were working towards 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CSP). Ranking below the Australia-Japan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Australia has recently elevated relations to CSP level with a raft of other regional partners, including India, Vietnam and Malaysia.

The 2015 Blueprint for Defence and Security Cooperation identified maritime security as one potential area for deepening security ties between Australia and Korea. On 13 September 2021, their foreign and defence ministers met in Seoul for the fifth “2+2” dialogue. The states agreed to enhance defence cooperation through increased joint training and exercises and develop a higher level of bilateral interoperability between their navies. They also agreed to uphold principles of freedom of navigation and overflight in the South China Sea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Just days after the 2+2, it was announced that Australia had signed the historic ‘AUKUS’ trilateral security partnership with US and UK. An information- and technology-sharing arrangement, AUKUS aims to deepen cooperation, joint capability,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states.

Media attention has largely focused on Australia’s plans to acquire at least 8 nuclear-powered submarines as part of the deal. Over the next 18 months, the immediate priority is to identify ‘the optimal pathway’ for delivering the submarines and ensuring Australia – a state without a civil nuclear industry – becomes ‘a responsible and reliable steward of this sensitive technology’. Additionally, long-range strike capabilities for the Australian Defence Force were part of the agreement, including Tomahawk Cruise Missiles. 

Australia also abandoned a $90 billion contract with France to build 12 conventional-powered submarines, resulting in sunk costs of at least $2.4 billion with more expected in broken contract fees. The clumsy handling of the announcement resulted in a diplomatic backlash, with Paris recalling its ambassadors in Washington and Canberra.

While many unanswered questions about the submarine program remain, Australia is set to become only the second country (after the UK) to receive this technology from the US.

The AUKUS deal has provoked discussions about whether a similar deal might be extended to South Korea. Developing nuclear-powered submarines was part of President Moon’s election platform, although requests for purchasing US-built nuclear-powered submarines appear to have been refused. It was reported in September 2020 that Korea’s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or, Hyun-Chong Kim, unsuccessfully approached Washington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US supplying nuclear fuel. While AUKUS has been described by US leaders as a ‘one-off’, Korean experts have suggested this technology should be shared with Korea. According to Peter Lee, Korea’s domestic defence industry – including its nuclear technology base and shipbuilding industry – is significantly more advanced than Australia’s. If a similar deal on technology sharing was struck, Korea could potentially develop indigenous nuclear-powered submarines that do not risk undermining Korean sovereignty.

AUKUS could have implications for bilateral relations between Australia and Korea, depending on whether it is viewed in Korea as countering China and reinforcing regional Cold War dynamics.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ppears to have taken a neutral stance on the security agreement. In a summit between Moon and UK Prime Minister Boris Johnson, Johnson reportedly told Moon that ‘AUKUS will not cause any regional problems’ and Moon responded ‘I hope AUKUS will contribute to regional peace and prosperity.’ Nevertheless, concerns have been expressed in Korean media that Korea will be pressured to join an anti-China coalition.

As the waterways of East Asia become increasingly crowded with naval vessels from states within and beyond the region conducting joint patrols, there is an interesting puzzle around how middle-sized states – such as Australia and Korea – conceptualise their strategic geography and their roles and interests across maritime domains. Like Australia, Korea is a middle-sized power with a significant trading relationship with China.

Australia and Korea have adopted different approaches to managing relations with the great powers. AUKUS is another example of Australia’s intentions to deepen its alliance with the US, raising concerns and criticisms – including from the French foreign minister – that it has compromised its sovereignty. Australia’s government has abandoned its ‘pragmatic’ foreign policy setting of not having to choose between either US and China, contributing to the deterioration in trade relations over the past 18 months, with Beijing applying sanctions to around a dozen Australian industries such as barley, wine and seafood, and both states taking each other to the World Trade Organisation. 

Not only is Canberra moving closer to the US, AUKUS demonstrates that Australia is pursuing a bigger role in regional security. The Defence Strategic Update of 2020 highlighted that Australia’s decision-makers are shifting the primary image of Australia’s national role conception from a middle power state situated in the world to a regional power situated in a (largely maritime) region.

The move to nuclear-power submarines reflects Australia’s desire for an order shaping role in the region. These capabilities would allow the Royal Australian Navy to ‘patrol more of the Indo-Pacific region for longer, which could be particularly handy at a time of competing territorial claims for strategic waters’. Australia sees itself as contributing to ‘military deterrence’ in the waters of North and Southeast Asia, and regional stability more generally.

Korea, on the other hand, has a narrower conception of strategic geography. This is in part due to the existential security threats it faces in its immediate neighbourhood, which has increased as North Korea advances its nuclear capabilities. The progressive Moon’s government has thus sought to focus on inter-Korean peace while modernising Korea’s defence and security capabilities, although its New Southern Policy has sought to engage Southeast Asian states, and to a lesser extent India. The focus on the nuclear threat has also curtailed Korea’s strategic interest in maritime areas beyond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where it has its own territorial and jurisdictional disputes.

China also punished South Korea in 2017 with trade sanctions after the Moon government’s decision to allow US to deploy its THAAD missile defence system on Korean soil. The Korean government appears more unwilling to ‘to risk offence to China’ than the Australian government, which has cleaved closer to traditional security alliances. There is the potential for the perception to emerge that Korea’s balancing has denied it the opportunities that have now been afforded to Australia, which has long advanced its role as a ‘dependable ally’.

Rebecca Strating is the Executive Director of La Trobe Asia and a Senior Lecturer i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Department of Politics, Media and Philosophy. Her research focuses on maritime disputes in Asia and Australian foreign and defence policy. She has written three monographs, most recently “Defending the Maritime Rules-Based Order” (2020). In 2019 she was awarded an Asian Studies Visiting Fellowship to research at the East West Center in Washington DC for three months. She was also a visiting affiliate fellow at th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Singapore, an affiliated researcher at Georgetown University and am currently a non-visiting fellow at the Perth US Asia Centre.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 KIMS Periscope는 매월 1일, 11일, 21일에 카카오톡 채널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 KIMS Periscope는 안보, 외교 및 해양 분야의 현안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합니다.
  • KIMS Periscope는 기획 원고로 발행되어 자유기고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해양안보의 현황과 쟁점, 전문적이고 시류의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물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보와 지식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들은 가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톡친구 버튼

친구추가 버튼

코드스캔 버튼

QR코드 스캔

채널 버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