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KIMS Periscope

KIMS Periscope 제232호

선진 강국 반열에 이르는 길 : 대한민국 해군과 미래 경항공모함

덴마크 국방대학교
교 수

이안 바우어

특정국가의 해군전력 구성은 그 국가의 전략적·작전적 안보환경 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목표와 경제적 위상을 반영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경항공모함 확보 노력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처해있는 안보환경과 국가경제의 절대적인 부분을 해양의 자유로운 사용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선진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대한민국의 경항공모함 확보 결정은 단·장기적 측면의 전략적 타당성을 내포하고 있다.

항공모함은 국가의 힘과 의지를 상징한다. 70대 이상의 항공기를 운용하는 10만 톤 규모의 미 항공모함은 그 존재 자체만으로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작전 능력을 잘 보여준다. 현실적으로 오직 미국만이 이러한 거대규모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운용할 수 있지만, 현재 많은 국가들이 크기는 작지만 강력한 능력을 보유한 항공모함을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확보를 추진 중이다.

영국과 프랑스와 같이 전통적으로 해양력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국가들뿐만 아니라, 중국과 인도처럼 해양강국 달성을 추진 중인 국가들이 이에 해당한다. 많은 국가들이 약 20~40대 가량의 항공기를 운용할 수 있는 경항공모함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은 다양한 국가정책과 전략 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경항공모함의 작전적 유연성과 능력에 대한 전략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미국은 해병대의 F-35B 전투기를 탑재한 대형상륙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미 해군내부에서도 경항공모함만이 제공할 수 있는 작전적 강점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경항공모함은 한국해군과 대한민국 정부에게 북한위협뿐만 아니라, 지역 및 국제사회에서 더욱 강력한 전투수행 능력과 다양한 전략적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강력한 독자 전투수행 능력

한국의 경항공모함 확보 및 운용계획은 여러 작전적·전략적 수준의 타당성을 바탕으로 한다. 남북간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전시 한국의 군사시설은 상당한 위험에 노출된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및 장사정포뿐만 아니라 북한이 개발 중인 다양한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한국과 미국의 육상 항공기지에 매우 큰 위협요인이다.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한민국의 잠재적 취약성을 미사일 방어체계나 다른 대응수단을 통해 일정부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대한민국의 안보에 항공력이 미치는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한국은 항공모함을 운용함으로써, 적에 의한 탐지, 추적 및 표적화가 제한되는 해상기반 항공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북한의 제한적인 정보, 감시 및 정찰(ISR) 능력을 고려한다면 한국의 항공모함은 신속한 작전전개 및 강력한 타격능력을 바탕으로 군 수뇌부들에게 한반도 전역에서 성공적인 작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항공모함의 능력은 항공모함에 탑재·운용되는 항공기 능력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F-35B 전투기에 대한 일부 논란이 존재하지만, F-35B 전투기는 단연코 성능이 매우 뛰어난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이다. 단거리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F-35 계열의 F-35B 전투기는 지상이륙 기반의 F-35A 전투기나 사출기에 의해 이륙하는 F-35C 전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연료 및 무장 적재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 전개 중인 항공모함에서 운용 시 적이 예상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적 상공에 은밀히 침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재무장 및 재급유가 가능한 강력한 스텔스 전투기이다. 주목할 점은, F-35B 전투기는 스텔스 및 정밀 타격 능력이외에도, 다양한 센서, 통신 및 정보처리능력을 보유함으로써 지휘·통제 및 정보·감시·정찰(ISR)의 구심점(nod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현존하는 다른 전투기에 비해 F-35B 전투기의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F-35B 전투기의 이러한 능력은 북한에 대한 한국의 정보·감시·정찰(ISR) 범위를 확장시켜 줄 것이다. 항모에서 이륙한 전투기는 적의 전선 후방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함으로써 전장환경에 대한 우군의 상황인식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F-35B 전투기는 공중·해상·지상발사 순항미사일 및 육군포대 등의 무기체계 운용을 위해 필요한 표적정보를 획득하여 전파함으로써 합동교전능력을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F-35B 전투기는 강력한 센서능력을 바탕으로 조기경보 및 표적추적 정확도를 향상시켜 미사일방어체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상륙작전을 지휘하는 기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독도함 및 마라도함과 같은 다른 상륙함들과 함께 분쟁가능성이 있는 연안지역에서 한국 해군과 해병대의 독자적인 작전수행 여건을 보장해 줄 것이다. 적정수준의 F-35B 전투기를 탑재한 경항공모함은 자체적인 공중전투초계비행, 적 방공방 무력화, 상륙군에 대한 근접항공지원 및 독자적인 초정밀 타격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강력한 연합전투 능력

F-35B를 탑재한 항공모함은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강한 결속력에 기반한 연합작전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은 동맹국들이 운용하는 항공모함의 작전적 전술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해 왔다. 한국이 F-35B를 탑재한 경항공모함을 운용하게 된다면 한국은 최신의 해군전력을 보유·운용하는 미국의 최우선 동맹 반열에 들어설 것이다. 영국, 일본, 이탈리아, 스페인 및 싱가포르(스페인과 싱가포르는 잠재적 국가임)는 경항모 기반 F-35B 전투기를 운용할 예정이거나 곧 운용을 시작할 것이다. 미국과의 연합작전 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 해병대의 F-35B 전투기는 2021년 취역 후 최초 임무로 동아시아에 전개되는 영국의 퀸엘리자베스함과 연합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국은 경항공모함을 확보함으로써 일상적인 작전에서부터 고강도 작전 임무에 이르기까지 더욱 많은 국가들과 긴밀하게 작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

미국의 수뇌부들은 미국의 동맹국들이 보유한 해상기반 항공전력의 수준과 작전적 운용의 유연성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미국과 동일한 F-35B 전투기를 운용하는 동맹국들에 대한 관심은 더욱 크다. 공동의 유지정비 및 작전운용절차 적용이 가능하여 상호 연합작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미 해병대의 F-35B 전투기가 한국의 항모에서 작전을 수행하거나 한국의 F-35B가 미 항모에서 작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데이터 링크와 같은 유사한 센서 및 통신능력의 보유는 어떠한 전투수행 상황에서도 긴밀한 공조를 가능케 할 것이다.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21세기 새로운 전투환경에서 미해군과 한국 해군 간의 긴밀한 연합체계를 한층 더 강화시키는 수단이 될 것이다.

강력한 전략적 능력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북한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수단으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수단으로서 전략적 이점을 제공한다. 일부의 사람들은 이견을 표명할 수 있지만, 항공모함은 해군 군사외교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한 해군 전문가가 언급한 것처럼, “항공모함의 확보는 여전히 국가의 힘과 의지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인식된다.” 경제선진국인 한국은 전세계에 걸쳐 정치적, 전략적, 경제적 측면의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는 지역과 국제문제에 있어서 한국의 국력에 걸맞은 역할확대와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이익’ 과 국제사회의 ‘기대’라는 두 요소를 고려 시 항공모함의 잠재적 유용성은 더욱 증대된다.

항공모함의 전개 및 운용은 일반적으로 특정사안에 대한 자국의 정치적·전략적 이해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주요 수단으로 기능한다. 프랑스, 영국 및 미국이 남중국해에 지속적으로 항공모함을 전개시키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러 안보전문가들이 중국의 항공모함 확보 노력을 중국의 국력과 지전략적 야심을 표명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해석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일본이 일본해상자위대 소속의 이즈모급 상륙함을 F-35B 탑재가가능한 항모로 개조하는 것도 같은 이유로 해석될 수 있다.

경항공모함 운용은 한국이 위에서 언급한 국가들과 어깨를 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새로운 능력의 확보를 의미한다. 역내 다양한 현안과 관련하여 주변 국가들과 마찰을 야기시키고 있는 중국의 부상으로 인해, 한국이 처해있는 지전략적 환경은 지속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있다. 동시에,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불안정한 토대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양국관계의 신중한 관리가 요구된다. 잠수함, 구축함 및 상륙 전력 등과 함께 운용될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불안정한 역내안보환경 속에서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억제력을 발휘할 것이며 역내 한국의 전략적 이익을 보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경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편성되는 항모전단은 동북아 인근지역을 넘어 국익과 연계된 여러 사안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있어서 다양한 전략적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다. 경제발전과 국가번영의 해양의존도가 증대되는 반면 해양의 자유로운 사용에 대한 도전요인들이 다양해지고 있는 환경 속에서, 항모전단은 독자적 또는 연합전력의 일원으로 아시아 지역의 해상교통로 수호를 위한 역할도 담당할 것이다.

더불어, 경항공모함은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역할 확대와 적극적인 참여기회를 증대시킬 것이다. 한국해군은 미래의 연합전력투사 작전 수행 및 인도주의적 재난재해 작전 수행 시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항공모함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여줄 수 있는 잠재력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정책결정자들은 경항공모함 확보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미래 지향적 능력

많은 전문가들이 미래의 항공모함과 함재기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현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문은 함재기가 실효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작전반경 이내에 항공모함이 진입하기 전에 항공모함이 적의 연안·해상기반 장거리 정밀무기의 공격에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국가의 해군에서 항공모함과 대형갑판을 보유한 상륙함 확보를 추진 중에 있으며, 이는 항모의 전략적·작전적 효용성이 지속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적정 규모의 호위함정의 호위와 지원 하에 경항공모함의 능력과 작전적 유연성은 더욱 증대된다. 더욱이 항공모함의 작전적 유용성과 가치는 미래에도 지속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무인 항공기의 성능이 더욱 발전되면 유무인 또는 완전 무인기를 운용하여 항공모함의 작전 반경과 운용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글에서 논의된 모든 내용을 종합하면 한국의 경항공모함은 한국해군의 막강한 핵심전력이 될 것이며, 현재와 미래 한국의 유용한 전략적 수단으로 기능할 것이다.

An Exclusive Club:
The ROKN and the Future Light Aircraft Carrier

Dr Ian Bowers
Royal Danish Defence College

Ideally, the force structure of any navy is not only a reflection of a state’s strategic and operational context but also its geopolitical goals and economic status. It is only through this lens can the Republic of Korea Navy’s (ROKN) acquisition of a light aircraft carrier be understood. Given South Korea’s military situation and position as an economically advanced state reliant on the free use of the sea, the decision to invest in a carrier capability makes both short and long-term strategic sense.

Aircraft carriers are synonymous with state power and intention. The presence of a U.S. aircraft carrier, displacing over 100,000 tons and carrying 70 plus aircraft is a powerful signal of U.S. strategic interest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Although probably only the U.S. can realistically develop and operate vessels of this size, multiple states have or are now investing in smaller, yet still powerful classes of aircraft carrier.

These include states that have traditionally invested in seapower such as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and those which seek to become sea powers including China and India. That multiple states are pursuing such a capability indicates that these platforms, able to operate around 20-40 aircraft are highly valued for their operational flexibility and ability to execute an array of strategies and policies. As a further example of this, the U.S. is deploying U.S. Marine Corps (USMC) F-35B on-board its large amphibious vessels.  Also, there is a debate in the U.S. Navy about the added operational benefits that light aircraft carriers provide.

A light aircraft carrier will provide the ROKN and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th more and improved warfighting capabilities and increased strategic options, not only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 but also on a regional and even global stage.

A potent independent warfighting capability

Multiple operational and strategic rationales exist for the procurement and operation of a ROKN aircraft carrier. South Korea’s proximity to North Korea poses significant and well-understood dangers to South Korean military infrastructure in a time of war. North Korea’s development of multiple types of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combined with long range rockets and artillery hold South Korean and U.S. airfields at risk. This potential vulnerability can be partially mitigated by missile defense and other countermeasures, however, given the importance of airpower to South Korea’s security a further strategic hedge is required.

By operating an aircraft carrier, South Korea will possess a resilient maritime-based airpower capability, one that is difficult to detect, track and target. Indeed, given North Korea’s limited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SR) capabilities, a South Korean aircraft carrier would provide military leaders with a rapidly deployable and potent strike weapon capable of secure operations on either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Of course, any aircraft carrier is only as capable as the aircraft deployed aboard it. The F-35B, while controversial is a modern, highly capable stealth aircraft. Although this STOVL variant of the F-35, carries less fuel and weapons than then ground-based F-35A and catapult-launched F-35C, it nevertheless is a powerful and stealthy system capable of carrying a wide variety of weapons and when operating from an aircraft carrier can penetrate enemy airspace from unexpected vectors and can be quickly re-armed and refuelled at sea.

Importantly, in addition to its stealth and precision strike capability, the F-35 also possess significant sensor,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allowing it to act as a command and control and ISR node.  This gives it value-added capabilities over other contemporary strike aircraft.

These capabilities will extend South Korea’s ISR coverage of North Korea. By acting as sensor nodes, aircraft operating from a ROKN carrier flying well behind enemy lines can vastly improve South Korea’s situational awareness of the battlefield. These aircraft could also provide a so-called 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finding targets for other South Korean systems such as air, sea, and ground-launched cruise missiles and even ROKA artillery. Indeed, it is reported that the F-35’s sensor suite is even powerful enough to act in a missile defense capacity, providing early warning and added targeting fidelity to missile defense systems.

A further role of a ROKN aircraft carrier would be to act as a flagship for a South Korean amphibious capability. Its ability to escort and work alongside South Korean amphibious ships including the Dokdo and Marado would provide the ROKN and ROKMC with a self-contained force capable of independent operations in contested littoral environments. A light aircraft carrier carrying even a modest number of F-35B would be able to conduct its own air-combat patrols, counter enemy air defences, provide close air-support for amphibious troops and then conduct deep-precision strikes all independent of any other air assets.

A potent cooperative warfighting capability

It is important to recognise that an aircraft carrier, equipped with F-35B provides a value-added joint operational capability with the U.S and U.S. allies. Traditionally, the U.S. has recognised the operational and strategic value of allied aircraft carriers. A ROKN light aircraft carrier operating the F-35B would place South Korea amongst a small exclusive club of U.S. allies operating these advanced capabilities at sea.  The United Kingdom, Japan, Italy and potentially Singapore and Spain will or are beginning to operate the F-35B from light aircraft carriers. In an example of how this encourages joint operations with the U.S., USMC F-35B will operate off the HMS Queen Elizabeth for her maiden deployment to East Asia in 2021. By possessing this capability, the ROKN rapidly expands the number of states that it can closely operate alongside in everyday operations and high-intensity combat roles.       

The power and flexibility of allied sea-based aviation capabilities are attractive to U.S. commander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states operate the F-35 as it allows for common maintenance and operational procedures and easier pathways to joint-allied operations. For example, similar to the UK, USMC F-35B could operate off a future ROKN light aircraft carrier and vice versa. Additionally, analogous sensor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such as data links would facilitate more intensive coordination in any warfighting scenario. This ROKN capability would therefore develop the already close operational links between the naval forces of the U.S. and South Korea in a new and important direction for the 21st century battlespace.

A potent strategic capability

The possession of a light aircraft carrier confers more benefits than just warfighting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 While some may ignore this aspect of naval strategy, an aircraft carri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val diplomacy. As one naval writer states, “the possession of an aircraft carrier is still seen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national strength and ambition”.   As an advanced, globally interconnected economy, South Korea has political, strategic, and economic interests across the world. Additionally, given this level of national strength, there is a heightened international expectation for a greater South Korea involvement in regional and global affairs. When combined, these two elements, interest, and expectations, serve to emphasise the potential utility of an aircraft carrier.

The deployment of such a vessel is commonly understood as a sign of political and strategic interest and therefore plays a central role in international signalling. Evidence of this can be seen in how the French, British and U.S. governments prominently advertise the deployments of aircraft carriers to the South China Sea. China’s aircraft carrier program is often used by strategic analysts as an indicator of its national strength and broad geostrategic ambitions. Equally JMSDF conversion of the Izumo-class DDH to carry the F-35B is often used as a demonstration of Japan’s revitalisation as a regional strategic actor.

For South Korea, the operation of a light aircraft carrier would place it alongside these nations and provide a valuable new capability. It is undoubtedly true that South Korea’s geostrategic position is increasingly precarious, with the rise of China creating a cascade of contentious strategic issues across the region. At the same time, South Korea’s relationship with Japan is based on precarious foundations and requires careful management. A light aircraft carrier operating alongside current and future ROKN assets including submarines, destroyers and amphibious capabilities provide South Korea with a more substantial and sustainable deterrent within the context of regional security and will assist in ensuring that South Korea’s strategic interests in a regional context are maintained.

Beyond the immediate vicinity of Northeast Asia, a naval group based around a light aircraft carrier provides South Korea with a more varied array of strategic options. Thi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given the centrality of the sea to South Korea’s economic prosperity and the fact that the free use of the sea is increasingly being challenged. A South Korean aircraft carrier supported by a viable escort group could independently or as part of a coalition protect and keep open the vital sea lanes that run through the East Asian region.

Furthermore, such a capability would allow South Korea to become a more involved actor on a global stage. The ROKN could provide a value-added capability to future international coalition power projection operations or undertake humanitarian and disaster relief on a scale it has not done before. In essence, a light aircraft carrier has the potential to place South Korea on a higher international level should policymakers in Seoul choose to pursue such a policy. 

A future-proof capability

Of cour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ny experts have questioned the future of the aircraft carrier and carrier-aviation in general. This is largely due to the proliferation of shore and sea-based long-range precision weapons that could target a large platform such as an aircraft carrier before its aircraft could come into effective operational range.  However, the aircraft carrier and large flat deck amphibious vessels remains an object of desire in navies around the world and retain their strategic and operational relevance.

If they are adequately protected by support vessels, the flexibility such capabilities provide are of great value. Moreover, the aircraft carrier has the potential to maintain its operational utility well into the future. For example, as unmanned aerial vehicles become more capable aircraft carriers can be modified to deploy with these capabilities in either a manned/unmanned or fully unmanned variations thereby increasing their operational range and utility.  Therefore, when combined, all of the elements highlighted in this article suggest that a light aircraft carrier would be a powerful force multiplier for the ROKN and a highly useful strategic tool for South Korea both now and well into the future.

Ian Bowers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Centre for Joint Operations at the Royal Danish Defence College. Prior to holding this position, he was an Associate Professor at the Norwegian 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His research focuses on deterrence, the future operational environment, seapower and East Asian security. Bowers most recent publication is the co-edited volume, Grey and White Hulls: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the Navy Coastguard Nexus (Palgrave, 2019). He has also published a monograph on the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Navy. His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the Naval War College Review, Pacific Review and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Bowers holds a PhD in War Studies from King’s College London.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 KIMS Periscope는 매월 1일, 11일, 21일에 카카오톡 채널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 KIMS Periscope는 안보, 외교 및 해양 분야의 현안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합니다.
  • KIMS Periscope는 기획 원고로 발행되어 자유기고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해양안보의 현황과 쟁점, 전문적이고 시류의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물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보와 지식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들은 가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톡친구 버튼

친구추가 버튼

코드스캔 버튼

QR코드 스캔

채널 버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