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XN

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KIMS Periscope

KIMS Periscope 제290호

인도-태평양 지역 내 아세안-중진국간 해양 안보 협력 강화

말레이시아
해양연구소 연구원

Jeslyn Tan

인도-태평양 지역은 지금 미국과 중국 간의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이 되었으며, 대만 해협 (Taiwan Strait) 및 남중국해 (South China Sea)와 같은 잠재적인 일촉즉발의 위기 지역이 있다. 2021년 안보 전망 (Security Outlook 2021)에서 아세안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의 모든 회원국은 역내 질서의 양극화를 초래하고 아세안 국가가 억지로 어느 한쪽의 편을 들도록 강요당할지도 모르는 강대국 경쟁을 가장 큰 안보 문제 중 하나로 꼽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국가는 그들의 중립성 및 통일성 유지를 위해 해양 안보 협력을 통한 강대국에 대한 방어책을 펼침으로써 어느 한쪽의 편을 드는 것을 피하고 있다 (Tan, 2020). 본 고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 대신, 동남아시아 국가가 역내 중진국 (일본, 인도, 대한민국, 호주 및 유럽연합)과 해양 안보 협력을 강화시키는 방법도 있음을 제안하며, 이는 악화되는 경쟁 속에서 강대국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해양 안보 분야에서 중진국과 아세안 국가 간의 이해 수렴은 협력을 위한 훌륭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이는 점진적으로 역내 중진국 대리인으로 발전할 수 있다.

아세안의 중진국과의 해양 안보 협력

인도-태평양의 수역은 해적행위 및 무장강도, 해상 테러행위, 불법 · 비보고 · 비규제어 어업(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IUU), 미등록 이주, 사이버 안보, 마약 및 무기 밀매 등과 같은 비전통적인 안보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세안 국가와 외부세력 간의 협력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위협은 주로 초국가적이고 국제 해상무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말라카 해협 위원회 (Malacca Strait Council, MSC) 및 아시아 해적방지 협정 (Regional Cooperation Agreement on Combating Piracy and Armed Robbery against Ships in Asia, ReCAAP)의 수립에 선구자적 역할을 함으로써 말라카 해협 (Straits of Malacca)에서의 항해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 일본의 공헌은 필수불가결하다. 일본 정부는 또한 동남아시아 내 어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남아시아 어업개발센터 (Southeast Asian Fisheries Development Center, SEAFDEC)의 유일한 비아세안 회원국이다. 뿐만 아니라, 아세안과 인도는 연결성 및 안보 분야에서 강한 해양 협력을 향유한다. 2022년 아세안-인도 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리기 위한 기념 활동 중에는 아세안-인도 해양 훈련이 계획되어 있는데, 이는 국방 협력을 더욱 향상시킬 것이다 (아세안 사무국, 2022).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및 인도네시아 등 개별 아세안 국가는 또한 인도 해군과 양자간 해군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더욱이, 대한민국과의 협력은 주로 해양 사이버안보에 초점을 맞춰왔다. 말레이시아 해양연구소 (MIMA)가 인도-태평양 전문가 및 정책입안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에서 대한민국 (13.3%)은 미국 (38.7%)에 이어 해양 기술 및 사이버안보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는 두 번째 국가로 선정되었다 (MIMA, 2021). 말레이시아와 대한민국은 오랜 기간 사이버안보 영역에서 강력한 파트너십을 확고히 해왔다. 2016년 사이버안보 말레이시아 (CyberSecurity Malaysia)는 한국인터넷진흥원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과 해양 영역을 포함해 두 기관 간의 사이버안보 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더욱이,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ASEAN Defence Ministers’ Meeting-Plus, ADMM-Plus)의 사이버안보 전문가 분과회의 (Experts’ Working Group on Cyber Security)의 공동 의장을 맡고 있어,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가 제안한 아세안 사이버 방어 네트워크 (ASEAN Cyber Defence Network, ACDN)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ACDN은 경험을 교환하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아세안 국가의 사이버 방어 작전본부를 모두 연결하고자 한다.

반면, 호주 또한 해양 역량강화 및 해군 훈련을 통해 아세안과 끊임없는 관계를 맺어왔다. 2020-2024년 아세안-호주 행동계획 (ASEAN-Australia Plan of Action 2020-2024)에서 양 당사자는 아세안 지역 포럼 (ASEAN Regional Forum, ARF),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t Asia Summit, EAS), 아세안 확대 해양포럼 (Expanded ASEAN Maritime Forum, EAMF) 및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ADMM-Plus) 등 아세안 주도의 다자간 메커니즘을 통해 해양 안보 협력을 강화시키기로 약속하고, 비전통적인 위협에 맞서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역내 해상 영토 및 국경 논쟁의 평화로운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1982년 유엔 해양법협약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을 옹호하기 위한 계획에 초점을 맞춘다. 2022년 4월 유럽연합, 호주 및 베트남이 공동 주최한 제4회 ARF 해양법 집행 협력 강화 워크샵 (4th ARF Workshop on Enhancing Regional Maritime Law Enforcement Cooperation)에서는 국제법에 따른 중첩 수역 분쟁에 대한 해양법 집행 및 동남아시아 해양법 집행 기관 간의 상호작용을 다스리기 위한 잠재적인 구속력 없는 도구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유럽연합 대외관계청, EEAS, 2022). 마찬가지로, 유럽연합은 CRIMARIO II를 통한 동남아시아에서의 법에 의한 지배 강화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CRIMARIO II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양법 집행의 사법적 측면을 국제법에 따라 개선시키기 위해 동남아시아 국가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론

분석 결과는 해상무역에 있어 해상교통로의 중요성 및 중국-미국간 강대국 경쟁의 심화에 따라 특히 해양 영역에서 중진국이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욱 주도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아세안 국가와 중진국 간에 많은 협력 계획이 도입되었는데, 단지 양자간 또는 다자간의 협력만 있는 것이 아니다. 호주-인도-인도네시아 3자관계와 같은 새로운 소다자주의 합의는 격렬해지는 미국-중국 간의 경쟁으로 인해 어느 한쪽의 편을 들도록 압력을 받는 상황에 맞서 역내 권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중진국 간의 해양 안보 협력을 향상시키려 하고 있다. 이는 중진국 대리인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고, 협력 분야는 경제, 환경 및 연결성으로 확대될 수 있다. 강대국에 대한 의존성은 여전히 심할 것이다; 하지만, 중진국 대리인의 부상은 아세안 국가에게 대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아세안 국가가 어느 한쪽의 편을 드는 상황을 방지하고, 그들의 중립성과 통일성을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Strengthening ASEAN-Middle Powers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in the Indo-Pacific

Introduction

The Indo-Pacific region has now become the centre of geopolitical rivalry between the United States (US)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with potential flashpoints such as the Taiwan Strait and the South China Sea. In the Security Outlook 2021, all the member stat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listed major power competition as their biggest security concern, which could lead to the bipolarisation of the regional order and force the ASEAN states to pick sides. Nonetheless, ASEAN states eschew choosing sides by hedging against the great powers through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to maintain their neutrality and unity (Tan, 2020). This article proposes that other than the binary options between the US and China, Southeast Asian states can also strengthen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middle powers in the region (Japan, India, South Korea, Australia, and the European Union (EU)), which can become an alternative to the great powers amidst the escalating rivalry.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of the middle powers and ASEAN states in maritime security provides a great platform for cooperation, which might gradually evolve to become a middle-power agency in the region.

ASEAN’s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with Middle Powers

The waters in the Indo-Pacific are beset by maritime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like piracy and armed robbery, maritime terrorism,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IUU) fishing, irregular migration, cybersecurity, as well as narcotics and arms trafficking. In order to tackle these threats, cooperation between ASEAN states and the external powers is required as the threats are mainly transnational and affect global maritime trade. Japan’s contribution to maintaining the safety of navigation in the Straits of Malacca is indispensable through the Malacca Strait Council (MSC) and by pionee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Cooperation Agreement on Combating Piracy and Armed Robbery against Ships in Asia (ReCAAP). Tokyo is also the sole non-ASEAN member of the Southeast Asian Fisheries Development Center (SEAFDEC), which aim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fisheries in Southeast Asia. Besides, ASEAN and India enjoy strong maritime cooperation in connectivity and security. Among the commemorative activities to celebrate the 30th anniversary of ASEAN-India relations in 2022 is the planned ASEAN-India Maritime Exercise that will further enhance their defence cooperation (ASEAN Secretariat, 2022). Individual ASEAN states like Singapore, Malaysia, Vietnam, the Philippines, and Indonesia also carry out bilateral naval drills with the Indian Navy.

Furthermor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has mainly focused on maritime cybersecurity. In a survey targeted at experts and policymakers from the Indo-Pacific carried out by the Maritime Institute of Malaysia (MIMA), South Korea (13.3 percent) ranked second after the US (38.7 percent) as the country that could be a global leader in maritime technology and cybersecurity (MIMA, 2021). Malaysia and South Korea have long established a strong partnership in the cybersecurity domain. In 2016, CyberSecurity Malaysia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to enhance cyber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gencies, including in the maritime domain. Furthermore, South Korea assumes a vital role in ensuring the success of the ASEAN Cyber Defence Network (ACDN) proposed by Malaysia as they are both co-chairs of the Experts’ Working Group on Cyber Security at the ASEAN Defence Ministers’ Meeting-Plus (ADMM-Plus) from 2021 to 2024. The ACDN aims to connect all the cyber defence operation centres of ASEAN states to exchange experience and shar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Australia also has constant engagements with ASEAN through maritime capacity building and naval exercises. In the ASEAN-Australia Plan of Action 2020-2024, both parties pledge to strengthen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through the ASEAN-led multilateral mechanisms such as the ASEAN Regional Forum (ARF), East Asia Summit (EAS), Expanded ASEAN Maritime Forum (EAMF), and ASEAN Defence Ministers’ Meeting-Plus (ADMM-Plus), focusing not only on efforts to tackle non-traditional threats, but also initiatives to uphold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s a means for the peaceful settlement of maritime territorial and boundary disputes in the region. The 4th ARF Workshop on Enhancing Regional Maritime Law Enforcement Cooperation co-hosted by the EU, Australia, and Vietnam in April 2022 discussed maritime law enforcement in areas of overlapping claim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and potential non-binding instrument to govern the interactions between maritime law enforcement agencies in Southeast Asia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EEAS), 2022). Similarly, the EU has also become more interested in strengthening the rule of law in Southeast Asia through its CRIMARIO II. CRIMARIO II aims at capacity building and sharing best practices with the Southeast Asian states to improve the judiciary aspect of their maritime law enforcement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Conclusion

The analysis demonstrates that middle powers have become more proactive in enhancing cooperation with their Southeast Asian counterparts, notably in the maritime domain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sea lanes for maritime trade and the heightening Sino-American great power rivalry. Many cooperative initiatives have been introduced among ASEAN states and the middle powers, not only bilaterally or multilaterally. New minilateral arrangement like the Australia-India-Indonesia (AII) trilateral seeks to enhance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e middle powers in order to maintain the regional power balance in the face of increased pressures to pick sides due to the intensifying US-China rivalry. This could lead to the formation of a middle-power agency and the areas of cooperation can be extended to the economy, environment, and connectivity. Dependence on the great powers will still remain heavy; nevertheless, the emergence of a middle-power agency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to the ASEAN states, which could help prevent them from taking sides and maintain their neutrality and unity.

Jeslyn Tan은 말레이시아 해양연구소 (Maritime Institute of Malaysia, MIMA) 해양안보외교센터 (Centre of Maritime Security and Diplomacy)의 연구원이다. 또한, 유럽연합의 기금으로 운영되는 유럽연합-아세안 씽크탱크 대화 프로젝트 (EU-ASEAN Think Tank Dialogue (EANGAGE) Project)의 안보 파트 소속 연구원이다.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 KIMS Periscope는 매월 1일, 11일, 21일에 카카오톡 채널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 KIMS Periscope는 안보, 외교 및 해양 분야의 현안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합니다.
  • KIMS Periscope는 기획 원고로 발행되어 자유기고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해양안보의 현황과 쟁점, 전문적이고 시류의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물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보와 지식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들은 가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톡친구 버튼

친구추가 버튼

코드스캔 버튼

QR코드 스캔

채널 버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