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XN

정보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를 지정하시면 해당 카테고리 내의 정보만 검색 됩니다.

KIMS Periscope

KIMS Periscope 제317호

한국-인도간 해양전략의 일치점 :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상승적 협력의 전조

Kamlesh-K-Agnihotri

인도 해군협회
선임연구원(예.대령)

Kamlesh K. Agnihotri

인도는 인도양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해양국가의 운명을 타고났다. 7,516km에 달하는 해안지대와 수많은 오지의 섬들, 201만km2에 이르는 방대한 배타적 경제 수역 (exclusive economic zone, EEZ), 12개의 주요 항만과 200여개의 비주요 항만 (non-major port) 등을 보더라도 해양국가의 면모를 여실히 확인할 수 있다. 인도의 경제적 번영과 해양안보는 인도양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인도의 역사학자인 KM Panikkar는 이 같은 연관성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다른 국가에게 인도양은 중요한 대양 지역 중 하나로 여겨지겠지만, 인도에게는 반드시 있어야 할 긴요한 바다이다. 인도의 생명선이 인도양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도의 미래는 광활한 수면의 자유에 달려 있다. 인도양이 자유로운 공간으로 남아있지 않는 한 인도의 산업발전과 상업성장, 안정적인 정치구조를 비롯한 그 어떠한 것도 존립할 수 없다. 따라서 인도의 해안은 완전히 보호되어야 한다.”[1]

이와 같은 뒤늦은 깨달음은 격언이라고 할 수 있는 ‘해양에 대한 인식 부족 (sea-blindness)’로 인해 약 3세기 동안 유럽 강대국에 의해 식민지 시대를 겪고 자유를 완전히 박탈당한 뒤 쟁취한 독립 후의 국가 안보 담론에서 명확해졌다. 인도 민주주의의 창시자들은 해양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수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항공모함과 대양해군함, 잠수함에 기반한 강력한 해군력 구축을 개념화했다.

이후 1962년과 1965년, 1971년, 1999년 국경지역에서 벌어진 전쟁과 전투로 인해 인도의 의사결정자들은 지상으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대비에 집중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국가안보에 있어 지상공격에 일시적으로 초점을 맞췄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방향 선회가 점진적으로 현대화를 지속해온 인도 해군 (Indian Navy, IN)에 대대적인 타격을 입히지는 못했다. 결국 ‘전투태세와 응집력을 갖추고 미래를 대비해’ 온 현재의 인도 해군은 강압이나 그 어떠한 형태로든 국가 외교 증진을 위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인도 해군이 국가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최적의 잠재적인 수단으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명확하고 간결한 전략방향이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인도의 해양 전략

인도 해군은 이 같은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7년 최초로 ‘Freedom to Use the Seas: India’s Maritime Military Strategy’라는 제하의 해양군사전략을 발표했다. 여기서 ‘전략’이라함은 인도의 역동적인 지정학 환경을 다루고 연합세력을 구축하여 점차 진화하는 위협 대상에 맞설 수 있는 방안을 뜻하므로, 시시각각 변하는 동시대의 현실을 반영하도록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2015년 인도 해군은 이에 따라 ‘2007 해양 전략’을 개정한 ‘해양안보전략 (Ensuring Secure Seas: Indian Maritime Security Strategy)’을 공표했다 (이하 IMSS-2015이라함).

새로운 ‘전략’은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변화하는 전략 지정학적 환경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인도는 이처럼 방대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1차/2차 해양 이익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렸다.  자국의 해양안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은 IMSS-2015에 언급된 다음과 같은 특정 전략과 합치된다.

1)  억제 전략

2)  분쟁해결 전략

3)  해안/지상 안보 전략

4)  해군력 및 역량개발 전략

5)  유리하고 긍정적인 해양환경 구축 전략

위의 첫 네 가지 전략은 주로 내부 지향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지만, 마지막 ‘유리하고 긍정적인 해양환경 구축 전략’은 내재적으로 외부 지향적인 접근방식을 구상한다. 평화보존, 안정촉진, 안보유지라는 세 가지 원칙을 가정하고, 수립된 해당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해양에서 촉발된 광범위한 차원의 위협을 다스리기 위한 인도와 국제사회 이해당사자들의 포괄적이고 조율된 접근방식을 필요로 한다. 

지역해양안보를 향한 인도의 협력 전략

Shri Narendra Modi 인도 총리는 2015년 모리셔스에서 ‘SUGAR’ 혹은 지역의 모두를 위한 안보 및 성장 (Security and Growth for All in the Region)이라는 인도양지역 (Indian Ocean Region, IOR)의 해양안보 및 경제발전에 대한 포괄적인 구상을 최초로 공개했다.  이러한 비전을 더욱 발전시키고 전면적으로 이행하는 역할은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유연성을 겸비하고 대양에 힘을 미칠 수 있는 인도 해군에게 돌아갔다.

이에 인도 해군은 2004년 최초로 발표된 ‘인도 해양 독트린 (Indian Maritime Doctrine of 2004)’ 을 시작으로 이후 모든 해양 독트린과 전략 문서에 외교, 치안유지 및 선의의 임무의 일환으로 ‘평화 보존, 안보 증진, 안보 유지’를 위한 협력 활동을 포함시켰다 세세한 구분 상의 차이나 구체화 등 약간의 변동은 있었지만, 이후 발표된 인도 해양군사전략 (2007), 인도해양독트린 (2009), IMSS-2015은 모두 이러한 협력 역할과 임무를 수록하고 있다. 이러한 임무에는 ‘주둔’ 및 ‘건설적인 해양 활동’에서부터 ‘해양 지원 및 평화 지원 작전’이 모두 포함되며, 이행과 감독 강화를 위해 특정 ‘과제’로 세분화되었다.

해외 파병 (overseas deployment, OSD)은 인도·태평양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자국의 해양 이익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한 인도 해군의 ‘주둔’ 임무를 가장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해외 파병을 통해 인도 해군함정은 연안지역에서 해양 위기 상황 발생 시 (인재와 자연재해 모두를 포함한) ‘최초 및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 2023년 4월 인도 해군의 수메드하 (Sumedha)함을 통한 수단에서의 비전투원 대피 작전 (non-combatants evacuation operation, NEO)을 일례로 들 수 있다. 실제로, 참사 후 인도 해군함이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투입되어 펼쳐진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HADR), 탐색 및 구조 (SAR), 인도주의 활동이 거듭 보여준 선의를 통해 인도는 인도·태평양 연안지역에서 ‘환영받는 안보 파트너이자 최초 대응자’라는 마땅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연합 ‘건설적인 해양 활동’은 플랫폼 및 기술이전의 형태로 펼쳐졌다. 함선 수리 및 유지보수 지원, 훈련 및 상호운용성 강화를 위한 인사교류, 해군회담, 해양훈련, 수로측량 및 유사 활동을 예로 들 수 있다. 인도는 현재 11개국과 제도화된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군사훈련으로 MALABAR, INDRA, SIMBEX, KONKAN, VARUNA, JIMEX, AUSINDEX를 꼽을 수 있다.  가장 최근인 2023년 5월에는 동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및 안보 증진을 위한 ‘단합된 해군력’을 행사한다는 목표로 제1차 아세안-인도 해양 훈련 (AIME-23)이 싱가폴에서 실시되었다. 

인도양지역 공동 해양안보 증진을 위한 인도의 또다른 측면에서의 노력으로 때로 더욱 포괄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의 이해당사자들이 함께하는 ‘고위 전략 메커니즘’ 수립을 들 수 있다. 인도양 해양 심포지엄 (Indian Ocean Naval Symposium, IONS), MILAN 군사훈련, 인도-스리랑카-몰디브 국가안보보좌관 3자 메커니즘 (India-Sri Lanka-Maldives NSA level trilateral mechanism)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인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다자간 해양안보 메커니즘으로는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ASEAN Defence Ministers Meeting Plus, ADMM+), 환인도양연합 (Indian Ocean Regional Association, IORA), 아시아해적방지협정 (Regional Cooperation Agreement on Combating Piracy and Armed robbery against Ships in Asia, ReCAAP)이 있다.

한편, 인도는 공동 해양영역인식 (maritime domain awareness, MDA)을 구상하기 위해 2018년 인도양 해양정보융합센터 (Information Fusion Centre for the Indian Ocean Region, IFC-IOR)를 설치했다. 필수적인 MDA 자료를 수집, 분석, 융합, 배포하는 역량을 갖춘 역내 해양 자료 보관소 역할을 하는 IFC-IOR는 주요 해양 정보 자원으로 부상했다. 인도의 SAGAR 협력 비전과 합치되는 활동을 수행하는 IFC-IOR는 동 지역 25개국 정부 및 35개 해양안보센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일본, 호주, 미국을 비롯한 11개국의 연락 담당관 (International Liaison Officers, ILO)들이 IFC-IOR에 임명되었다는 사실은 인도가 이처럼 융합된 MDA 정보를 함께 공유할 의향이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한국 해양전략의 협력전망

“아세안을 비롯한 역내 주요 국가와 연대 및 협력을 통해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을 만들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모두 발언은 한국의 2022 인도·태평양 전략 (이하 ‘KSIP-22’)이 주로 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KSIP-22는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을 위한 9대 ‘중점 추진 과제’ 중 하나로 ‘포괄 안보 협력 확대 (expand comprehensive security cooperation)’를 내세우고 있다.  주요 중점 분야 중 하나로 출현 기술과 더불어 4개국 안보협의체 (QUAD) 와의 점진적 협력 확대 역시 KSIP-22에 수록되어 있다.

한국은 아세안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 노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주축으로 삼겠다는 아세안 인도·태평양 관점 (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 AOIP)을 지지한다. 한국은 해양안보, MDA, 해양 경제 및 해양법 집행에 있어 협력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있어서도 아세안 회원국과 함께 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정상회의 (East Asia Summit, EAS), 아세안 지역안보포럼 (ASEAN Regional Forum, ARF), ADMM+ 등의 다자간 메커니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국은 2018년 이후 환인도양협약 (IORA) 대화상대국 (Dialogue Partner)으로 참가하는 등, 인도양위원회 (Indian Ocean Commission, IOC), ReCAAP 등의 다자간 메커니즘에 참가함으로써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또한, 2009년 이후 아덴만 (Gulf of Aden)에 ‘청해’ 부대를 파병해 중국, 인도, 일본과 공동으로 해적 퇴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양국 해양전략의 일치점

한국은 인도를 ‘주요 지역 파트너’로 인식하고 함께 ‘특별 전략적 동반자관계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를 내실 있게 발전시키고자 한다. ‘주요 과학 ·기술 영역에서의 협력강화’라는 중점 추진 과제와도 자연스럽게 상호 보완되는 모습을 보인다. 인도의 첨단 IT 및 우주과학 부문의 우수성은 KSIP-22에도 언급되어 있다.

해양 영역에서 한국과 인도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일치점’은 인도·태평양이 아프리카 동쪽 해안까지 해당한다는 지리적 확장에 대한 유사한 해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한국의 해양안보 이해는 대부분 동 지역에 대한 인도의 우려와 일맥상통한다.

한국과 인도가 다수의 해양안보 이니셔티브와 메커니즘 및 인도·태평양에서 펼쳐지는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동 지역에 대한 양국의 이해가 얼마나 중첩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ReCAAP, ADMM+ 등의 다자간 포럼과 아덴만에서 펼쳐지는 공동 해적퇴치 호송 작전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은 약 15년간 연합해군사령부 (Combined Maritime Forces, CMF)/연합기동부대 (CTF-151)에 참가해 왔으며, 2022년 준회원으로 CMF에 합류한 인도는 다자간 환경에서 양국 해군 간의 더욱 긴밀한 협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인도 해군은 그간 비정기적인 교류가 있었지만 공식적인 메커니즘은 수립하지 않았다. 양국 항만을 내항하거나 다자간 해양 훈련 참가의 일환으로 항행훈련을 펼치는 형태로 나타났다. 지난 2년간 양국 해군의 접촉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2022년 2월 – 비사카파트남 (Visakhapatnam)에서의 MILAN 훈련 참가

2)  2022년 6월 – 하와이에서 전개된 RIMPAC-22 다자간 해양훈련 참가

3)  2022년 9월/10월 – 한국 해군 순항훈련전단의 첸나이 (Chennai) 방문

4)  2022년 11월 – 인도 해군함의 부산 입항. 항행 훈련 실시

5)  2023년 3월 – P-8 해군 정찰항공기를 투입해 괌에서 전개된 다국적 연합 대잠전 시 드래곤 (Sea Dragon) 훈련 참가

협력 가능성 고찰 – 제언

위에서 언급한 일치점, 즉 인도·태평양 지역의 확대와 해양안보 우려에 대한 공통된 인식, 이로 인한 도전과제 극복을 위한 노력에서 보여지는 유사성, 상호 역량과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보유능력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양자/다자간 해군 활동은 모두 양국의 상승적 협력의 폭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먼저, 해군함정의 양국 입항을 통해 상대국 해군과의 항행 훈련의 범위와 규모, 복잡성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국과 인도 해군은 종국적으로 상대국 본부에서 격년제로 회담을 시작할 수 있다. 인도 해군이 러시아, 일본, 프랑스, 호주, 일본 등 인도·태평양 지역의 이해당사자들과 해상훈련을 제도화해 실시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과 인도 해군이 이와 유사한 협정을 공식화할 수 있는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MDA가 포괄적인 안보협력 의제의 일부로 KSIP-22에 포함되었고, 인도 역시 완전한 기능을 수행하는 IFC-IOR에 각국의 연락담당관 (ILO)들을 두고 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한국 역시 동 센터에 자국 연락관을 임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인도가 제안한 인도·태평양 구상 (Indo-Pacific Oceans Initiative, IPOI)  은 한국이 동 지역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인도와 뜻을 함께한 국가와 협력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이 아세안 인도-태평양 관점 (AOIP)에 대한 분명한 지지의사를 밝혔고, IPOI와 AOIP가 목적과 협력 방식에 있어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과 동시에 아세안을 행동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미루어 본다면, 한국이 IPOI에 가입하는 것은 매우 설득력 있는 행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첨단 기술과 중공업, 항만 인프라 개발에 있어 강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한국은 IPOI의 ‘과학 기술 및 학술 협력’ 부문을 주도할 적임자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2008년 창립된 이후 인도양지역 (IOR)의 모든 해사 문제를 다루는 역동적인 다자간 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한 인도양 해양 심포지엄 (IONS)에 가입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국, 일본, 러시아와 같은 역외 국가가 옵저버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한국 역시 ‘옵저버’ 지위를 요청할 수 있다.

끝으로, 언급한 몇 가지 협력 방안 중 일부가 실현된다면 한국과 인도는 함께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다채로운 해양 활동에 대한 협력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Congruence between India's and Republic of Korea’s Maritime Strategies: Portends for Synergistic Collaboration in the Indo-Pacific

Captain Kamlesh K Agnihotri

India, by virtue of its geospatial location in the Indian Ocean, is preordained to be a maritime nation. Its 7516 km long coastline; numerous outlying islands; vast exclusive economic zone (EEZ) of 2.01 million square km; and 12 major and about 200 non-major ports; provide clear testimony to this truism.  The very economic prosperity and maritime security of India is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Indian ocean.  A noted Indian historian, KM Panikkar has in fact, summarised this linkage in these words:

 “While to other countries, the Indian Ocean is only one of the important oceanic areas; to India, it is the vital sea. Her lifelines are concentrated in that area. Her future is dependent on the freedom of that vast water surface.  No industrial development, no commercial growth, no stable political structure is possible for her unless the Indian Ocean is free, and her own shores are fully protected.”[1]  

The above wisdom-in-hindsight dawned on the national security discourse post-independence, after India had to endure colonisation and total loss of freedom for about three centuries at the hands of European powers because of the proverbial ‘sea-blindness’.[2] The founding fathers of Indian democracy therefore conceptualised the formation of a strong naval force based on aircraft carriers, blue-water ships and submarines; which would be capable of addressing the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from-, at- or through the sea.

The subsequent wars/conflicts across the land borders in 1962, 1965, 1971 and 1999 did force the Indian decision-makers back towards land-centric threat mindset. However, the temporary shift of national security focus landwards, did not hugely impact the Indian Navy (IN), which continued to modernise at a steady pace.  Consequently, the contemporary Indian Navy as a ‘combat-ready, cohesive and future- ready’ Force is ready to play its designated role in furtherance of national diplomacy – coercive or otherwise. The optimum employment of this potent instrument of State power, however, requires clear and concise strategic directions.

India’s Maritime Strategy

The IN, in recognition of the above imperative, published its first strategic document titled ‘Freedom to Use the Seas: India’s Maritime Military Strategy’ in 2007.  Since ‘strategies’ are meant to address the dynamic geopolitical landscape, shifting alliances and evolving threat profiles; these per-force must be reviewed from time-to-time to reflect contemporary realities.  The ‘2007 Maritime Strategy’ of the IN was accordingly revised in 2015 and promulgated as ‘Ensuring Secure Seas: Indian Maritime Security Strategy’ –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SS-2015.

The new ‘Strategy’ is meant to respond to the changed geostrategic environment, wherein the Indo-Pacific region has progressively acquired increasingly greater salience. Within this vast seascape, India has clearly defined its primary and secondary areas of maritime interest;[3] within which the Country intends achieve its maritime security objectives. These objectives have been conflated with the following specific strategies, as mentioned in the IMSS-2015:[4]

  1. Strategy for deterrence
  2. Strategy for conflict
  3. Strategy for coastal and offshore security
  4. Strategy for maritime force and capability development
  5. Strategy for shaping a favourable and positive maritime environment.

While the first four strategies largely have an inward-looking orientation; the ‘Strategy for shaping a favourable and positive maritime environment’ inherently envisages an outward approach. This strategy – predicated on three principles of preserving peace, promoting stability and maintaining security – requires comprehensive and coordinated approach from the Indian and other international stakeholders to address broad-spectrum of sea-borne threats.[5]

India’s collaborative Strategy towards Regional maritime security

The Indian Prime Minister, Shri Narendra Modi, encapsulated the collective concept of maritime security and economic progress within the Indian Ocean Region (IOR) for the first time in his vision of ‘SAGAR’ – Security and Growth for All in the Region – in 2015 in Mauritius.[6] The mantle of carrying forward this vision and providing full play to it on the ground, has naturally fallen on the IN – by virtue of its reach across the oceans coupled with its sustenance and flexibility. 

Accordingly, the IN has incorporated activities related to collaboratively ‘preserve peace, promote stability and maintain security’ as part of its diplomatic, constabulary and benign missions in every maritime doctrine and strategy document commencing with the first Indian Maritime Doctrine of 2004.’[7] Subsequent documents namely,  the Indian Maritime Military Strategy-2007, Indian Maritime Doctrine-2009 and IMSS-2015 also mention these collaborative roles and missions, albeit with and minor reclassification and greater refinement.  These missions range from ‘presence’ and ‘constructive maritime engagements’, to ‘maritime assistance and peace support operations’. These in turn, have been further disaggregated as specific ‘tasks’ for better execution and oversight.[8]

Overseas deployments (OSD) are the most visible demonstration of IN’s ‘presence’ mission in India’s areas of maritime interests – which cover a substantial part of the Indo-Pacific.  OSDs enable the IN ships to be ‘first and rapid responders’ in case of maritime crisis situations – both, man-made and natural – in the littoral. A case in point is the non-combatants evacuation operation (NEO) from Sudan, mounted by IN ship Sumedha in April 2023.  In fact, the resultant goodwill generated by repeated instances of timely and efficient post-calamity HADR, SAR and humane approach by IN ships, has earned India, a well-deserved reputation of ‘preferred security partner and first responder’ within the Indo-Pacific littoral.[9]

The associated ‘constructive maritime engagements’ take the shape of platform and technology transfer; ship refit and maintenance support; personnel exchanges for training and inter-operability; Navy-to-Navy staff talks, maritime exercises, hydrographic surveys and the like.  India presently conducts institutionalised maritime exercises with 11 countries.  Some prominent ones are the MALABAR, INDRA, SIMBEX, KONKAN, VARUNA, JIMEX and AUSINDEX.[10] The inaugural ASEAN-India maritime exercise (AIME-23) conducted in May 2023 off Singapore, with the objective of enabling their navies to operate as ‘an integrated force’ to promote peace, stability, and security in the region, is the most recent addition.[11]

Yet another facet of India’s effort to promote collective maritime security in IOR – and often involving concerned stakeholders from the larger Indo-Pacific region – is the establishment of ‘high-level strategic mechanisms’. Some notable ones are the Indian Ocean Naval Symposium (IONS), Exercise MILAN and the India-Sri Lanka-Maldives NSA level trilateral mechanism. Other multilateral maritime security mechanisms in which India proactively participates are: the ASEAN Defence Ministers Meeting Plus (ADMM+), Indian Ocean Regional Association (IORA) and the Regional Cooperation Agreement on Combating Piracy and Armed Robbery against Ships in Asia (ReCAAP).

In order to develop a common maritime domain awareness (MDA) picture, India established the Information Fusion Centre for the Indian Ocean Region (IFC-IOR) in 2018.  As a repository of regional maritime data with the capabilities to collect, collate, fuse and disseminate vital MDA data, IFC-IOR has emerged as a key maritime information resource. With its activities fully aligned with India’s collaborative vision of SAGAR, the IFC-IOR maintains linkages with 25 countries and 35 maritime security centres in the region.  India’s ready willingness to share fused MDA data is reflected in the fact that International Liaison Officers (ILOs) from 11 countries – including Japan, Australia and the US – have been appointed at the IFC-IOR.[12]

Collaborative outlook of Republic of Korea’s (ROK) Maritime Strategy

The very opening remark of the ROK’s  President Yoon Suk Yeol, seeking to “…foster a free, peaceful, and prosperous Indo-Pacific region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major countries including ASEAN” underscores the predominantly collaborative focus of ROK’s Strategy for the Indo-Pacific Region-2022 (hereinafter mentioned as ‘KSIP-22’).[13]  KSIP-22 lists the pursuit of ‘expanding comprehensive security cooperation’ as one of its nine ‘core lines of effort’ towards ensuring a ‘free, peaceful and prosperous’ Indo-Pacific.[14] The gradual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QUAD[15] grouping also finds mention in KSIP-22 – with emerging technologies being one of the focus areas.

ROK supports the ASEAN Outlook on Indo-Pacific (AOIP) construct which is premised on the centrality of ASEAN towards promotion of cooperative endeavours in the Indo-Pacific. It accordingly engages with ASEAN nations in various ways to secure cooperation in maritime security, MDA, maritime economy and maritime law enforcement.  ROK is also an active participant in multilateral mechanisms like the East Asia Summit (EAS), ASEAN Regional Forum (ARF), and ADMM+. The Country has also acknowledged the benefits of participating in multilateral mechanisms like the IORA – where it is a Dialogue Partner since 2018 – Indian Ocean Commission, and ReCAAP.  ROK has deployed its ‘Cheonghae’ unit in the Gulf of Aden since 2009 for anti-piracy patrols in coordination with China, India and Japan.

Points of Congruence

ROK acknowledges India as a ‘leading regional partner’; and intends to advance ‘special strategic partnership’ with the Country. Natural complementarities also exist between the Korean core lines of effort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critical domain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recognition of the Indian proficiencies in cutting-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ace sciences – both mentioned in KSIP-22.

In the maritime domain, the foremost ‘point of strategic congruence’ between ROK and India lies in similar interpretation of the geographical expanse of the Indo-Pacific – that it extends till the East Coast of Africa.[16]  In fact, most of the Korean concerns with regard to its maritime security in the Indo-Pacific, also mirror India’s concerns in its areas of maritime interest.[17]

The very fact that India and Korea participate in many maritime security initiatives, mechanisms and exercises in the Indo-Pacific, underscores the level of mutual  congruence of interests in the region. Some such forums are the ReCAAP, ADMM+, and coordinated anti-piracy escort duties in the Gulf of Aden.  Further, while ROK has been part of the Combined Maritime Forces (CMF)/CTF-151 for about a decade and half; India having joined the CMF as an associate member in 2022 will engender closer cooperation between naval forces of both countries within multilateral settings.

Though there have been occasional Navy to Navy interactions between India and ROK; these have not been formalised. These are in the form of ship visits to each other’s ports, passage exercises, as also participation in multilateral maritime exercises. Some such events over last two years are enumerated below: –

  1. February 2022 – Exercise MILAN at Visakhapatnam
  2. June 2022 – RIMPAC-22 Multilateral Maritime Exercise off Hawaii
  3. September/October 2022 – ROK Navy Training Group ships visited Chennai
  4. November 2022 – IN ships visited Busan. Carried out passage exercises.
  5. March 2023 – P-8 naval reconnaissance aircraft in SEA DRAGON Joint Anti-submarine warfare exercise off Guam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 Recommendations

A survey of above congruences, viz, commonality as regards the spatial extent of the Indo-Pacific region and maritime security concerns therein; complementarities in each Country’s approach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cknowledgement of mutual capabilities and capacities in mitigating such challenges; and ongo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naval interactions; do indicate a huge scope for synergist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start with, the visiting naval ships could progressively increase the scope, scale and complexity of the passage exercises with the host nation’s navy.  The IN and ROK Navy could subsequently commence biennial staff talks at respective headquarters. The fact of IN conducting institutionalised naval exercises with other established Indo-Pacific stakeholders like Russia, Japan, France, Australia and the US; offers logical grounds for the IN and ROK Navy to formalise a similar arrangement.

Since MDA forms an intrinsic part of comprehensive security cooperation agenda in KSIP-22; and India has a fully functional IFC-IOR having ILOs embedded therein; ROK must depute an Officer to this Centre.

 The India proposed Indo-Pacific Oceans Initiative (IPOI)[18] offers yet another ready opportunity for ROK work together with India and other like-minded nations for the greater good of the Indo-Pacific. Since ROK has expressed unequivocal support for AOIP, and both mechanisms recognise the centrality of ASEAN in addition to underlying similarities between their objectives and collaborative approach; it makes for a compelling case for ROK to join the IPOI.  Given its intrinsic strengths in high technologies, heavy engineering and port infrastructure development, ROK would probably be the most suitable candidate to lead the ‘Science Technology and Academic Cooperation’ pillar of the IPOI.[19]

Finally, ROK could consider joining the IONS, which since inception in 2008, has evolved as a vibrant multilateral collaborative platform to address all matters maritime in the Indian Ocean Region (IOR).  When seen in the context of extra-regional States like China, Japan and Russia having been admitted as observers; ROK definitely has a claim for ‘observer’ status.

Finally, once a few of these suggested collaborative measures come to fruition, India and ROK together would certainly play an important part in charting a collaborative course for multifarious maritime engagements in the Indo-Pacific region.

Kamlesh K Agnihotri 대령(kkumaragni@gmail.com)은 2021년 인도 해군 퇴역 후 현재 뉴델리 소재 인도해군협회 (National Maritime foundation)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주로 중국 해상 및 첨단기술 이슈와 인도양 안보 문제, 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의 인도태평양 지역의 복잡한 역학관계를 연구한다. 최근 저서로 “Leveraging High Technology Developments in Chinese Military and Maritime Domains: Impact on The Indian Ocean Regional Security”를 발표했다.

Captain Kamlesh K Agnihotri, retired from the Indian Navy in 2021, is a Senior Fellow at the National Maritime Foundation, New Delhi. His current areas of Study include Chinese maritime and high technology issues, Indian Ocean security matters and the complex dynamics in the broader Indo-Pacific Region. His latest Book is titled “Leveraging High Technology Developments in Chinese Military and Maritime Domains: Impact on The Indian Ocean Regional Security”. Views expressed in this article are personal. He can be reached at kkumaragni@gmail.com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 KIMS Periscope는 매월 1일, 11일, 21일에 카카오톡 채널과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 KIMS Periscope는 안보, 외교 및 해양 분야의 현안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합니다.
  • KIMS Periscope는 기획 원고로 발행되어 자유기고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에서는 카카오톡을 통해 해양안보의 현황과 쟁점, 전문적이고 시류의 변화를 반영하는 연구물을 발송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한 정보와 지식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들은 가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카톡친구 버튼

친구추가 버튼

코드스캔 버튼

QR코드 스캔

채널 버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