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enu
1.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남중국해에서의 러시아의 역할
2. 우크라이나 전쟁 앞에 자유주의 국가들은 단합되었는가?
KIMS Periscope 제257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선임연구원 김예슬 인쇄용 PDF보기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라고 한다. 그렇지만 인간이 아무리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처신한다 하더라도 본의 아니게 비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때가 있다.
1. 남중국해 이로쿼이 암초 주변에서의 중국 민병대 활동
2. 중국 신형 경비함 취역의 함의
KIMS Periscope 제245호 前 손원일함 인수함장(예비역 해군대령) 최일 인쇄용 PDF보기 영국 퀸엘리자베스 항공모함 전단이 2021년 7월 6일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여 1997년 이후 처음으로 남중국해와 서태평양으로
1. ‘지중해 이행 위원회’: 남중국해에 적합한 모델?
2. 美-NATO 동맹국 간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제한적인 협력
KIMS Periscope 제242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객원연구위원 김석균 인쇄용 PDF보기 중국은 지난 2월 시행된 ‘중국해경법’과 함께 ‘해상교통안전법’을 개정하여 확장적 해양권익 주장과 회색지대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는 또 하나의
1. 두테르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필리핀을 상실
2. 중국 일대일로 수혜국들이 받는 혜택
해양은 인류문화의 교류와 세계문명의 가교로서, 그리고 인간과 재화를 운송하는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또한, 자원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에 국가안보 측면에서도 긴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양국가인 우리나라의 장래는 해양력의 발전에 있음을 직시하고 “바다를 아는 지식”, “바다를 경영하는 능력”, 그리고 “바다를 지키는 힘”에 관한 정책과 전략을 개발하여 국가발전과 안전보장을 유지하고 국제평화유지에 기여하기 위하여 한국해양전략연구소는 노력하겠습니다.
© 2022 KIM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