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프
KIMS Periscope

북한 SLBM 시험 발사와 해군의 對北 억제전략
KIMS Periscope 제178호 한국국방연구원책임연구원 박 창 권 인쇄용 PDF보기 핵추진 잠수함외 무인·AI 기술 활용방안 강구해야한미연합훈련 수행함께 독자적 대응능력 개발 긴요 북한은 지난 10월 2일 원산 북동쪽에서 북극성-3형 SLBM을 발사했다. 북극성-3형 SLBM은 고도 910여km•비행거리 450여km를

미·중 ‘전쟁’ 양상의 진화
KIMS Periscope 제177호 ― 경제전쟁에서 다시 안보전쟁으로 해군사관학교교 수 임 경 한 인쇄용 PDF보기 국익 추구 미국 우선주의와 中華思想 대결 본격화상호 세력과시 치열한 경쟁 통해 진짜 전쟁 진화 가능 국제정치이론 중 현실주의(realism) 관점에서 보면

미국의 서태평양 전역구상과 한국
KIMS Periscope 제176호 KAIST초빙교수 정 호 섭 인쇄용 PDF보기 중국의 패권 기정사실화 시도 차단이 미국의 목표한국은 스스로의 전략적 가치 증명하고 역할 모색필요 미 · 중간 군사적 패권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지난 10월 1일 건국

‘중국제조 2025’의 본질
KIMS Periscope 제175호 ― 중국 정치경제의 복잡성과 한국에 주는 함의 경희대학교교 수 여 유 경 인쇄용 PDF보기 무역전쟁 핵심은 무역적자 아닌 중국의 공격적 산업정책중앙정부 정책•지방 관계 등 복합요인 고려 대비책 필요 중국의 미래 위상을

다시 출렁이는 남중국해
KIMS Periscope 제174호 ― ‘규칙 기반 안정적 질서’ 구축은 가능한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전문가그룹 정 해 문 인쇄용 PDF보기 미-중 패권 경쟁 • 관련국 강압적 행동이 안정질서 장애물 구속력 있는 ‘행동 규칙’(CoC) 타결에 관련국 합의 어려워 올해

‘2020-2024 국방중기계획’과 해군력 발전
KIMS Periscope 제173호 한국국방연구원책임연구원 박 창 권 인쇄용 PDF보기 복합•다목적 임무수행 선진해군 발전 기반 방향 제시‘스마트 해군’은 장비 성능 외에 운용능력 강화도 필수 지난 8월 국방부는 향후 5년 간 군사력 건설 방향과 이를 위해

강하고 한 발 앞 선 해상전력이 한•일 지정학 지도 바꾼다
KIMS Periscope 제172호 해 군 본 부중 령 류 재 학 인쇄용 PDF보기 상대방 오판 막기 위해서는 강한 해군력 건설이 필수비교 우위 추구 전략적 사고와 국가정책적 지원 긴요 한일관계가 수교 이후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이런

‘스마트 국방혁신’의 과제
KIMS Periscope 제171호 ― 핵심 기반구조 구축이 우선이다. KAIST초빙교수 정 호 섭 인쇄용 PDF보기 제한된 예산 범위 내에서 ‘선택과 집중’ 접근 바람직다양한 노력과 함께 AI중심 핵심기반체계 구축 중요 이 시대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4차

GSOMIA 종료의 의미와 영향
KIMS Periscope 제170호 ― 한•일 군사비밀 정보보호협정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류 지 현 인쇄용 PDF보기 기존 3각협력 연결고리 상실로 한•미동맹에도 영향 가능 對北 정보수집 다양성 및 획득속도 저하 극복 과제 던져 한국정부는 지난 8월 22일 ‘한·일

INF 종료를 보는 2가지 시각
KIMS Periscope 제169호 통일연구원 초청연구위원 전 성 훈 인쇄용 PDF보기 INF 종료 이후 동북아의 안보 당분간 중거리미사일 배치경쟁 가열 전망 북핵문제 해결 어렵게 할 외부환경 조성 미국의 ‘중거리핵전력조약’(INF: Intermediate-Range Nuclear Forces Treaty) 탈퇴 결정이 6개월의

호르무즈 해협의 군사적 긴장과 해양안보
KIMS Periscope 제168호 한국국방연구원책임연구원 박 창 권 인쇄용 PDF보기 美 주도 연합호위작전 추진에 동맹 · 우방국간 시각차향후 한국 해군력건설 해양안보 국제적 수요 감안 필요 최근 미국과 이란 간의 갈등은 호르무즈 해협 통항에 대한 위험 증대와

한단계 격상된 영토경계가 필요하다
KIMS Periscope 제167호 ― 북한 목선사건·러시아 영공침범 등과 관련하여 한국해양전략연구소소장 이 서 항 인쇄용 PDF보기 중•러 합동훈련 기존 지역안보체제 틈새 노려NLL은 ‘좋은 이웃’만드는 튼튼한 기준선 돼야 지난 6월 15일 일어났던 북한에 의한 이른바 ‘삼척항

중국의 민군융합 통한 ‘지능화군’(知能化軍) 건설 전략
KIMS Periscope 제166호 한국국방연구원국방전문연구위원 이 창 형 인쇄용 PDF보기 시진핑 시기 중국 군사력 현대화 방향 핵심미 군사력 허점 공략…AI등 첨단 분야 집중 중국은 최근 민군융합을 통해 대미(對美) 군사력 열세를 극복하고자 AI•우주•사이버•심해능력 향상에 집중하고 있다.

핵잠수함 • 해저케이블과 스파이 특수전의 해저 삼각안보
KIMS Periscope 제165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선임연구위원 최 정 현 인쇄용 PDF보기 러시아 잠수함 사고 해저 케이블 중요성 일깨워정보도청 위한 ‘보이지 않는 통신전쟁’ 진행중 지난 7월 1일 북극의 바렌츠(Barents)해에서 러시아 핵잠수함 한 척이 화재를 당해 14명 승조원이

신 냉전시대의 ‘살라미 전술’과 ‘기정사실화 전략’
KIMS Periscope 제164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연구실장 정 삼 만 인쇄용 PDF보기 자국이익 보호 및 증대 목표 새 경쟁전략 모색단계적 · 점진적 변화로 상대 기만과 목적 달성 강대국간의 새로운 대결과 경쟁 때문에 ‘신 냉전시대’라고 불리는 이 시기에

해양강국과 대양해군 2.0 : 국가해군력 시대를 준비하며
KIMS Periscope 제163호 합참전략기획부해군중령 오 순 근 인쇄용 PDF보기 ‘해양강국’과 ‘대양해군’은 현 문재인 정부의 해군력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구라고 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10월 국제관함식과 9월 도산안창호함 진수식, 2019년 3월 해사 73기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전략 보고서’ (2019) 평가
KIMS Periscope 제162호 ― 미국의 위협인식과 인도-태평양에서 한국의 자리 아산정책연구원선임연구위원 이 재 현 인쇄용 PDF보기 미 국방부는 2019년 6월 1일 ‘인도-태평양 전략보고서: 준비태세, 파트너십과 네트워크화된 지역’ (Indo-Pacific Strategy Report: Preparedness, Partnerships, and Promoting a Networked

미-이란 사태를 보는 2가지 시각
KIMS Periscope 제161호 한국국방연구원책임연구원 박 창 권 인쇄용 PDF보기 1. 미국 對이란 무력시위의 전략적 의미 최근 미 트럼프 정부는 페르시아만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하여 이란에 대한 군사력 시위를 적극 전개하고 있다. 미 해군은 링컨 항모타격그룹(Lincoln Carrier

최악이 된 미 해군 Fitzgerald함 충돌사고 裁判
KIMS Periscope 제160호 한국해양소년단연맹총 재 정 호 섭 인쇄용 PDF보기 최근 미 해군은 2017년 발생했던 미 구축함 Fitzgerald함 충돌사건과 관련하여 함장과 전술조치 장교에 대한 기소를 취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이들에게 충돌사고의 법적 책임은 묻지 않되,

미 코스트 가드 함정 한반도 파견의 국제법적 시사점
KIMS Periscope 제159호 한양대학교공공정책대학원겸임교수 김 석 균 인쇄용 PDF보기 지난 2월 말 하노이 미·북 비핵화 회담이 결렬된 후 유엔 안보리 대북전문가 패널의 연례보고서 발표와 함께 미국 연안 경비대(U.S. Coast Guard) 함정(버솔프-Bertholf함)이 한반도에 파견된 바 있었는데